실시간 랭킹 뉴스

李대통령 부탁에 800조 쏟아붓는 대기업…실현 가능성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삼성 450조, 현대차 125조, SK 128조 계획 발표
투자 위축 우려 줄었지만…실현 담보하려면 규제 완화 뒷받침돼야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 법인세도 美 수준으로"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 연합뉴스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 연합뉴스
국내 대기업이 향후 5년 동안 800조원이 넘는 초대형 투자 계획을 내놨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현대차, LG 등 주요 그룹은 AI(인공지능) 생태계 조성부터 반도체·전동화·배터리·로봇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 사활을 건 투자에 나선다.

이같은 투자 발표로 국내 산업 공동화 우려는 다소 누그러졌다. 다만 전문가들은 "정권 초마다 반복되는 레퍼토리"라며 중도 포기 없이 실제 실행을 담보하려면 규제 완화와 세제·인력 지원 같은 정부의 후속 조치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재명 부탁에…또 선물 보따리 푼 재계  


19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4대 그룹이 지난 16일 이재명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약속한 투자 규모는 800조원을 훌쩍 넘어선다.

삼성은 5년 동안 연구개발(R&D)을 포함해 국내에 총 450조원, 현대차그룹은 내년부터 2030년까지 국내에 총 125조2천억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내놨다.

SK그룹은 2028년까지 128조원, LG그룹도 5년 동안 100조원 넘는 국내 투자를 약속했다. 아울러 한화그룹과 HD현대도 조선업과 방산 분야 등을 중심으로 5년 간 각각 11조원, 15조원을 국내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이 대미 관세 협상을 마무리한 뒤국내 투자가 위축될 거라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에서 투자를 부탁하자, 총수들이 잇따라 화답한 모양새다.
 
이 대통령은 총수들과 만난 자리에서 "대미 투자가 너무 강화되면서 국내 투자가 줄어들지 않을까 걱정들을 하는데, 그 걱정들은 없도록 여러분들이 잘 조치해 주실 걸로 믿는다"며 "경제적인 상황에 따라 의사 결정을 하겠지만 비슷한 조건이라면 가급적이면 국내 투자에 지금보다는 좀 더 마음 써 주시라"고 언급했다.

삼성도, SK도, 현대도…AI 투자에 총력

연합뉴스연합뉴스
이번 투자 계획의 공통 키워드는 AI 기반 생태계 구축이다. AI 인프라 확충과 데이터센터 건립은 4대 그룹 투자 계획의 핵심이다.

삼성과 SK는 평택·용인 등을 거점으로 메모리 반도체·전력 반도체 투자를 강화하며 AI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에 나선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평택에 P5(메가 팹)를 건설 중이고, SK그룹은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완공 때까지 600조원 규모의 투자를 예상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자사 미래 전략을 '피지컬 AI'로 규정하고 로봇·자율주행·SDV(소프트웨어중심차)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혔다.

대규모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의 주축인 한화그룹과 HD현대도 각각 11조원, 15조원 규모의 국내 투자 계획을 내놨다. HD현대는 이 가운데 에너지·AI 분야에 8조원, 조선·해양 분야에 7조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청년층 고용이 위축된 가운데 채용 계획도 나왔다.

SK그룹 최태원 회장은 회의에서 "매년 8000명 이상의 채용을 꾸준히 유지했는데 2025년까지 매년 1만4000명~2만명의 고용효과가 나타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대차그룹도 관세 부담 완화에 따라 국내 투자와 고용을 더욱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정의선 회장은 "올해 7200명을 채용했으나, 내년에는 이 수치를 1만명으로 늘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 투자 실현하려면 규제 완화 필수


전문가들은 "전례 없는 투자 규모"라는 것에 입을 모으면서도 예정된 기간 내 실제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제도 정비에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권 초마다 기업들의 투자 계획이 나왔는데, 이번 투자 계획은 이전보다 더 구체적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도 나왔다.

다만 정권 후반부로 갈수록 기업들의 국내 투자도 힘이 빠졌던 경향이 있는 만큼 반드시 실현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이어져야 한다는 제언도 빠지지 않았다.  

이화여대 석병훈 경제학과 교수는 "계획대로 (투자를 다) 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경영 상황이 어떻게 바뀔지 모른다"며 "기업이 투자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 유연성을 확보해 주고 법인세도 미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맞춰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고용 계획에 대해서도 비슷한 조언이 이어졌다. 오일선 CXO 연구소장은 "정권이 바뀌면 항상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히는) 레퍼토리가 나온다"며 "과거에도 고용을 크게 늘리겠다고 했지만 실제 증가는 그 정도까지는 아니었던 사례가 많았다"라고 강조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