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환 기자2026학년도 정시 모집에서 사회탐구 응시자 지원을 허용한 의대는 전체 19곳 중 15곳으로 지난해보다 4곳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여전히 다수 대학이 수학 미적분/기하 또는 과학탐구 응시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어, '확률과 통계+사탐' 조합으로 지원하는 수험생이 합격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19일 진학사에 따르면, 올해 의대 정시모집에서는 전체 39개 대학 중 15곳(38.5%)이 사탐을 허용한다. 가톨릭대, 경북대, 부산대가 올해 수학 및 탐구 지정과목을 모두 폐지했으며, 고려대는 탐구에만 지정했던 선택과목을 없앴다.
진학사 제공
치대에서는 올해 경북대와 부산대가 지정과목을 폐지하면서, 11곳 중 5곳이 확률과 통계, 사탐 응시자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약대에서도 4개 대학이 추가로 지정과목을 없애, 총 37개 대학 중 13곳이 필수 응시과목을 두지 않는다. 특히 약대는 지정과목이 없는 13곳 중 11곳이 수도권에 위치해 있어, 최상위권 인문계 수험생들의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진학사는 다만 "다수의 대학이 미적분/기하 또는 과탐 응시자에게 3~5%, 많게는 10%의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어, 사탐 허용 확대가 곧바로 '사탐 응시자의 합격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진학사 제공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소장은 "사탐 허용으로 의·치·약대 교차지원 폭은 넓어졌지만, 당락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는 여전히 수학과 탐구 반영 방식"이라며 "대다수 대학이 미적분/기하 또는 과탐에 가산점을 주는 만큼, 인문계 과목 응시자는 대학별 수능 반영 방법을 반드시 세밀하게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