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대는 지난 19일부터 20일까지 산학협력관 1층 파루홀에서 '2025 지방소멸대응 순천 국제컨퍼런스'를 진행했다. 순천대 제공지역과 대학, 연구기관, 해외 전문가가 지역정책 수립을 위해 국립순천대학교에서 머리를 맞댔다.
순천대는 지난 19일부터 20일까지 산학협력관 1층 파루홀에서 '2025 지방소멸대응 순천 국제컨퍼런스'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대학과 함께 미래를 그리다: 지속가능한 도시, 살기 좋은 순천'을 슬로건으로,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방향과 지역 협력 모델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박진도 전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 위원장은 기조강연에서 '지역소멸 너머 지역전환–국민총행복사회로의 길'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어 국토연구원 차미숙 선임연구위원이 시·군 단위 상생형 지방소멸 대응 전략을 제안했다.
사례발표에서는 기무라 토시아키 일본 지역창생학회 학회장이 일본의 지방소멸 대응 정책을, 요시히로 타쿠오 일본 나라현 미야케쵸 부초장이 지방창생 우수사례를 소개했다.
순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송경환 상임의장이 좌장을 맡은 패널토론에서는 지방소멸 대응의 핵심 과제와 한·일 지자체 간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2일차 오전에는 '순천의 지방소멸 대응전략'을 주제로 7개 분야별 정책 아이디어가 제안됐으며 같은 날 오후에는 지역 특화산업, 지역 교육제도, 주민 삶의 질 개선을 주제로 한 3개 분과 컨퍼런스가 이어졌다.
지역 특화산업 세션에서는 전남바이오진흥원 이학성 본부장이 그린바이오 전략을, 한국항공우주산업 구교진 수석연구원이 지역 우주항공 생태계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
토론은 순천대 안삼영 교수가 좌장을 맡아 산업 기반 확장 방향을 논의했다.
지역 교육제도 세션에서는 한국관광연구학회 박창규 회장이 지역 관광자원 연계형 인재양성 모델을 제시했고 ㈜스튜디오356 김민준 대표가 콘텐츠 산업 융합 인재육성 방향을 발표했다.
주민 삶의 질 개선 세션에서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심재헌 연구위원이 농어촌 협력 모델을, 한국지방자치학회 김필두 이사가 복지·자치 통합 기반 대응정책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