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나스렉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한-믹타 정상회동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 인도네시아 부통령,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이 대통령,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에드가르 아브람 아마도르 사모라 멕시코 재무부 장관. 연합뉴스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중견국 협의체인 '믹타'(MIKTA) 회원국 대표과 회동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엑스포센터 다자회의장에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에드가르 아마도르 사모라 멕시코 재무장관, 기브란 라카부밍 란카 인도네시아 부통령,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순차적으로 인사를 나눴다.
사모라 장관이 "딸이 K팝을 무척 좋아한다. 대통령을 만났다고 전하면 딸이 굉장히 기뻐할 것"이라고 말하자 이 대통령은 "딸을 서울로 보내달라"고 화답에 나섰다.
기브란 부통령에게는 지난 달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경주에서 열린 한-인니 정상회담을 언급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이 한국을 찾아서 많은 논의를 했다"며 "더 많은 논의를 하게 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들 대표단은 회동 후 함께 기념촬영을 했다.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이 이날 믹타 회동에서 다자주의 가치를 이어가고, 한반도 평화 구축 노력을 지지한다는 공동선언문을 이끌어 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믹타 정상들은 국제사회가 직면한 공동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다자주의 회복과 실질적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며 "다양한 지리적·문화적 배경을 가진 범지역적 협의체로서 믹타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가교역할을 수행해왔음을 평가하고 그 역할이 앞으로 더욱 확대돼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믹타 대표단은 "다자주의와 국제협력 증진·민주주의·국제법 준수에 대한 믹타의 공동 의지를 재확인했다"며 "시민사회, 학계, 청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가 다자주의를 강화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는 점도 주목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