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귀국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방미 결과에 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대통령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9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등을 만나 "조속한 시일 내에 한미정상회담을 하고, 그러면서 제반 현안에서 상호 호혜적인 합의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촉진해보자고 했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이날 오후 관세∙방위비 등 협상을 위한 2박 3일 간의 방미 일정을 마친 뒤 귀국했다.
위 실장은 귀국 직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언론 브리핑을 열고 "7월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루비오 국가안보보좌관 겸 국무장관과 한미 안보실장 협의를 갖고 양국이 마주한 현안과 고위급 교류를 비롯한 동맹관계 강화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협의를 가졌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그 시점에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한 14개국에 대해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하는 서한을 보냈기 때문에 앞으로 통상 관련 협의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진지한 논의도 했다"고 전했다.
위 실장은 미국 측에 △한미 동맹관계 발전∙신뢰 강화 노력 △통상∙투자∙구매∙안보 등 패키지 협의 △조속한 한미정상회담 개최 등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한미 안보실장 협의를 위해 만나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위 실장에 따르면 루비오 장관은 이에 공감하며 "이번 서한은 7월 9일(관세 협의) 시한을 앞두고 아직 무역 협의가 이뤄지지 않은 모두에게 일률적으로 발송된 것이다. 8월 1일 전까지 합의를 위한 기회가 있는 만큼 그 기간 동안 소통을 긴밀하게 해나가자"고 답했다.
위 실장은 7월 중 한미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에 대해서는 "가급적 조속히 하려고 하지만 '8월 1일 이전이다', '이후다' 단정짓지 않고 (협의가) 진행되는 것에 따라 조절하려고 한다"고 답했다.
8월 1일까지 관세 협상 등이 이뤄지지 않으면 어떤 대책이 있느냐는 취재진 물음에는 "다양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며 "그렇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한미정상회담이 관세협상과 연계되느냐는 질문에는 "한미 간 큰 현안이 관세협상, 안보 등이기 때문에 정상회담으로 가기 쉬운 흐름"이라면서도 "정세 등 다양한 측면이 있다. 두고 봐야 한다"고 모호하게 답했다.
위 실장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의 서한을 가장 먼저 공개한 데 대해 "우리가 먼저 했다, 늦게 했다 의미를 해석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스타일이다. 친서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공개되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관세율과 방위비 증액을 연달아 언급한 데 대해서는 "함부로 해석해서도 안 되고 과도하게 해석해도 안 된다"며 "한국이 관심 영역에 최근에 들어왔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 부분은 잘 대처해야 한다는 생각 정도 갖고 있다"고 답했다.
위 실장은 미국과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환수 문제가 논의될 수 있다고도 언급했다. 그는 "우리가 갖고 있는 장기적 현안이고 그 문제가 안보 협의 속에 올라올 지는 모르겠지만 그것은 동맹관계 전체 모양의 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역과 투자, 안보까지 포함해 전체 협의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타결하게 된다면 전체를 묶어서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