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개 나라에 추가로 상호관세 서한을 보낸 가운데 이 중 브라질을 겨냥해 내정간섭을 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브라질과 필리핀 등 8개국에 8월 1일부터 적용할 관세 서한을 발송하고 이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렸다.
서한에는 필리핀에 대해 20%, 브루나이와 몰도바에 각각 25%, 알제리·이라크·리비아·스리랑카에 각각 30%, 브라질에는 50%의 상호관세율이 적시됐다.
지난 4월 2일 발표한 상호관세율과 비교하면 필리핀과 브루나이만 각각 3%포인트와 1%포인트 상승했고 스리랑카와 이라크, 리비아, 몰도바는 오히려 1%포인트에서 최고 14%포인트까지 관세율이 떨어졌다. 알제리는 변화가 없었다.
다만 브라질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10%의 기본관세만 적용했는데 이번에는 정치적인 이유를 들어 40%포인트 인상한 무려 50%의 상호관세율을 적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에게 보내는 서한에서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이 재판에 계류 중인 상황은 "국제적인 불명예"라면서 "이 재판은 열려서는 안 된다. 마녀사냥은 즉시 끝나야 한다"고 촉구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연합뉴스트럼프 대통령은 브라질에서 자유로운 선거와 미국인들의 근본적인 표현 자유가 공격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미국 기업들의 디지털 교역 활동에 대한 브라질의 계속된 공격과 다른 불공정 무역 관행 등을 거론하며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에게 무역법 제301조에 입각해 브라질에 대한 조사를 즉시 시작할 것을 명령한다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 자신과 좋은 관계였던 강경 보수 성향의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주는 동시에 그와 대척점에 있는 진보 성향의 룰라 현 대통령에게 정치적 타격을 주려는 의도로 볼 수 있어 관세를 통한 내정간섭 아니냐는 논란이 이는 대목이다.
교역국과의 관세 협상을 앞두고 해당 국가에게 껄끄럽거나 민감한 정치나 안보 등의 문제까지 끌어들여 협상을 유리한 국면으로 끌고 가려는 포석으로도 읽힌다.
룰라 대통령은 보복 조처를 예고했다. 그는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일방적인 관세 인상은 브라질의 경제 호혜주의(Economic Reciprocity) 법을 고려해 처리될 것"이라며 보복 조치를 시사했다.
한편 '브라질의 트럼프'로 불리는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2019~2022년 재임)은 2022년 대선에서 룰라 현 대통령에게 패한 이후 국방·법무부 장관 등과 함께 권력 유지를 목표로 한 각종 활동을 실행하려 한 혐의 등으로 기소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