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당시 배터리 충전율 80% 육박했었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잔류 전기 30% 이하로 방전' 가이드라인 미준수
업체 관계자 1명도 추가로 입건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박우경 기자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박우경 기자
국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 당시 배터리 충전율이 80%에 육박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통상 배터리 이전 작업시 배터리 충전율을 30%까지 낮춰야하지만, 이를 지키지 않았다는 사실이 경찰 수사 결과 드러나면서 화재 주요 원인으로 무게가 쏠리고 있다.

10일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배터리 로그 기록에 나타난 화재 당시 배터리 충전율은 90%이었고, 전문가 등의 분석한 오차값(보정율)을 적용하면 실제 충전율은 80%에 육박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도 지난 1일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현안 질의에서 "배터리 분리 시 충전율이 80% 정도였다"고 밝혔다. 국내 주요 배터리 제조사들이 분리·이설 시 충전율을 30% 이하로 낮추도록 권고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자, 기준을 초과한 사실을 인정한 것이다.

현장 관계자들이 작업 전 개별 배터리 전원을 차단했는지 여부도 불분명한 것으로 조사 결과 드러났다.

경찰은 작업자 등으로부터 "메인 차단기를 내렸으나, 랙 차단기 차단 여부는 확인하지 않았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전체 설비 전원을 끊는 메인 전원 외에, 개별 배터리 모듈 묶음인 '랙'의 전원을 각각 분리하는 절차를 지켜야하는데 이를 확인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경찰은 랙 차단기 전원을 작업 전 차단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정밀 감정을 진행하고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진화 모습. 박우경 기자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진화 모습. 박우경 기자
아울러 경찰은 이날 업체 관계자 1명을 추가로 입건했다고 밝혔다.

명절 연휴 기간에도 화재 원인 규명에 나선 경찰은 현재까지 국정자원 직원과 업체 관계자 등 총 26명을 조사했고, 이날까지 5명을 입건했다.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된 이들은 국정자원 소속 직원 1명, 현장 작업자 2명, 감리 인력 1명, 업체 관계자 1명 등이다.

이번 화재는 지난달 26일 국정자원이 전산실에 있던 리튬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작업 과정에서 발생했다.

경찰 관계자는 "관계자 조사와 압수물 분석 등 원인 규명을 위한 수사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