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무생 꿀밤에 '윽'", "장발 서태지 이후로 잘 어울려"…'당신이 죽였다'[현장EN:]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넷플릭스 시리즈 '당신이 죽였다' 제작발표회
이정림 감독 "가정폭력 다뤄 신체접촉 최소화"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제공 
배우 전소니가 넷플릭스 시리즈 '당신이 죽였다'에서 함께 호흡을 맞춘 이무생의 애드리브에 감탄했다.

전소니는 5일 서울 용산구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린 제작발표회에서 "순간적인 아이디어가 많으시더라"며 "극 중 몰입하셔서 꿀밤을 주시길래 '윽' 했는데 너무 웃겼다"고 전했다. 이어 "어른이 되면서 꿀밤 맞는 일이 없었는데 너무 생소했다"고 웃었다.

'꿀밤' 애드리브는 사실 두 번 등장할 뻔했다. 연출을 맡은 이정림 감독은 "두 번 시도했는데 첫 번째는 인물 관계가 가까워지지 않아서 하지 말자고 했다"고 떠올렸다. 진행을 맡은 박경림이 "2025년 하반기에 꿀밤이 유행하겠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당신이 죽였다'는 일본 소설 '나오미와 가나코'를 원작으로, 죽거나 죽이지 않으면 벗어날 수 없는 현실 앞에서 조은수(전소니)와 조희수(이유미)가 희수의 남편 노진표(장승조) 살인을 결심하게 되는 내용을 다룬다.

이 과정에서 은수와 희수를 돕는 진강상회의 대표 진소백(이무생)과 그의 밑에서 일하는 장강(장승조)이 등장해 극을 이끈다. 장승조는 1인 2역을 맡았다.

좌측부터 이무생, 전소니, 이정림 감독, 이유미, 장승조. 넷플릭스 제공좌측부터 이무생, 전소니, 이정림 감독, 이유미, 장승조. 넷플릭스 제공
이날 행사에는 이 감독을 비롯해 이유미, 전소니, 장승조, 이무생 등이 참석해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이 감독은 연출 배경에 대해 "오쿠다 히데오 작가님의 팬이었다"며 "읽으면서 두 여자가 삶에 분노하고 슬퍼하면서도 앞으로 나아가는 모습에 여러 감정이 들었다. 잘 만들고 싶었다"고 밝혔다.

작품 제목 의미에 대해서는 "너, 나, 우리 다 포함되는 '당신'을 넣었다"며 "죽일 수도, 방관한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제목의 의미를 끝까지 생각하게 만드는 설득이 필요해 그 부분에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이유미는 "조희수를 사람처럼 보이게 하는 게 첫 목표였다"며 "심적으로 연약한 상태이지만 그 속에 강함도 존재한다고 생각해 감정을 잘 전달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전소니는 "조은수는 친구 조희수를 구하기 위해 살인을 제안하는 인물"이라며 "누군가를 위해 용기내며 결단을 내리는 조은수를 표현하는데 고민했다"고 덧붙였다.

넷플릭스 제공넷플릭스 제공
이 과정에서 박경림은 극 중 장발 스타일의 이무생을 보며 "서태지 이후로 장발이 잘 어울린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다. 이무생은 "진소백은 어두운 과거에 갇혀있는 인물"이라며 "은수와 희수를 돕지만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거리감을 표현하려 했다"고 전했다.

장승조는 "노진표가 집착과 폭력성을 지닌 인물이어서 헤어스타일과 목소리 톤 변화를 통해 장강과의 차별화를 주려고 노력했다"며 "많이 욕해주셨으면 좋겠다"고 웃었다.

끝으로 이 감독은 "작품이 가정폭력을 다루다 보니 신체 접촉 장면을 최소화하기 위해 촬영감독님과 많이 논의했다"며 "가정폭력 관련 교육을 받고 피해자도 만나며 신중하게 접근했다"고 밝혔다.

이어 "인물의 심리와 관계를 공간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벽지, 창문, 다용도실 등에도 신경 썼다"며 "무거운 얘기들이 나오는데 신이 처지지 않도록 음악으로 올리려고 했다"고 덧붙였다.

총 8부작으로 구성된 '당신이 죽였다'는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온 스크린' 부문에 초청돼 상영됐으며 오는 7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