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재생에너지 늘려 전기료 싸게 낮출 여지 충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브라질 COP30 참석 전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

고리원전 2호기 계속운전 관련…"원안위 안전성 판단 신뢰"
"원전과 재생에너지 믹스해 에너지 체제 재편"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유튜브 캡처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유튜브 캡처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14일 재생에너지 확대 과정에서의 전기료 상승 우려와 관련해 "싸게 낮출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다"고 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가스 난방도 재생에너지로 바꿔야 된다고 했는데 그럼 난방비도 줄어들게 되느냐'는 조태임 앵커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전 세계적인 추세로 보면 이미 전 세계에서 가장 싼 에너지가 풍력하고 태양광으로 돼 있는데, 아직 우리나라는 비슷하거나 조금 비싸거나 그렇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부가 해야 될 일은 재생에너지를 많이 늘리면서도 가격을 석탄발전소나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소보다 더 싸게 낮추는 일"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전기료 부담을 더 하지 않고 지구에 부담을 더 주지 않으면서도 우리 국민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그런 계획을 세우는 게 새로운 기후부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고리 2호기 안전성 신뢰"…재생e+원전 '에너지 믹스' 의지 강조

부산 기장군 고리 2호기(왼쪽)와 고리1호기가 나란히 보인다. 원자력안전위원위원회는 13일 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를 표결로 의결했다. 오른쪽에 보이는 고리1호기는 올해 5월 해체에 착수했다. 연합뉴스부산 기장군 고리 2호기(왼쪽)와 고리1호기가 나란히 보인다. 원자력안전위원위원회는 13일 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를 표결로 의결했다. 오른쪽에 보이는 고리1호기는 올해 5월 해체에 착수했다. 연합뉴스
김 장관은 "현재 전기의 원별 가격으로 보면 원전이 가장 싼 게 맞고, 그 다음에 석탄과 태양광 값이 비슷하고, 이어 가스와 육상풍력 가격이 비슷하다"며 "해상풍력이 현재는 가장 비싸다"고 했다.

이어 "우리 부가 해야 될 일은 재생에너지를 늘리면서, 특히 태양광은 석탄발전소보다는 싼 에너지원으로, 또 육상이나 해상 풍력도 석탄 발전이나 가스 발전보다는 싼 에너지원이 될 수 있도록 해야 되는 게 숙제"라고 했다.

그는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섞어서 에너지원을 재구성해야 되는데, 원전은 위험하긴 하지만 다행히 탄소 발생을 하지는 않으니까 자연 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를 섞어서 에너지 체제를 재편하는 게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했다.

앞서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전날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을 허가했다. 이에 2023년 4월 설계수명 40년을 마치고 가동 중단했던 고리 2호기는 추가 절차를 거쳐 이르면 내년 초 재가동을 시작, 2033년 4월 8일까지 운전하게 된다.

김 장관은 원안위 결정에 대해 "안전한지, 아닌지 전문가들이 독립적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저희도 '감 놔라, 대추 놔라' 할 수가 없다"며 "원안위가 실제로 안전성 여부를 점검해서 결정한 것이기 때문에 신뢰해야 되지 않겠나 싶다"고 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도 '안전성을 담보로 수명 연장을 하거나, 말거나 이렇게 해야 된다'고 했고, 원안위가 굉장히 신중하게 안전성 여부를 판단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했다.

과거 '동력자원부' 시대 거쳐 '기후에너지환경부' 탄생하기까지

연합뉴스연합뉴스
김 장관은 기후부 출범과 관련한 소회도 언급했다. 기후부는 새 정부의 조직 개편 방침에 따라 산업통상부 산하에 있던 에너지 정책이 환경부로 이관돼 지난 10월 1일 출범했고, 내년 초 기획재정부 개편 시기와 맞물려 기재부 산하 기후대응기금 관리 업무도 이관된다.

김 장관은 "예전에 한창 대한민국이 산업화 초기 과정에는 '동력자원부'라고 하는 부처도 있었다. 오로지 산업 발전을 위한 일종의 부속적 개념"이었다면서 "지금은 기후 위기가 워낙 심각해지고 그 핵심이 석탄과 석유 같은 화석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산업의 종속 변수가 아니라 더 큰 지구적인 보호를 위한 새로운 체계로 세상을 봐야 한다"고 개편 의미를 설명했다.

에너지와 환경이 한 부처에서 양립 가능할지를 우려하는 일각의 시선에 대해선 "큰 틀에서 자연을 파괴의 대상이 아니라 공존의 대상으로 본다는 차원에서 보면 기존의 자연 에너지 파트와 환경 문제는 크게 다르지 않은, 공존의 대상인 측면에서는 같은 의미라 두 가지 가치가 충돌한다고 보이진 않는다"고 일축했다.

김 장관은 지난 10일 브라질 벨렝(Belem)에서 개막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UNFCCC COP30) 협상일정에 우리 정부 대표단 수석대표로 참석하기 위해 출국한다. 2035년까지 국가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정점(약 7억 4천만 톤) 대비 53~61% 줄이겠다는 감축목표(NDC)도 발표한다.

김 장관은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기후변화협약총회가 처음으로 열렸다. 이후 1995년 일본 교토에서 첫 의정서가 채택이 됐다. 그러부터 30년이 지났고, 미국의 탈퇴로 2001년부터 10여 년 이상 공회전하다 2015년 파리에서 다시 협약이 부활했다"며 "그로부터 10년이 지나 첫 문제 제기를 했던 브라질로 돌아가 '지구 행성을 어떻게 지킬지' 되돌아보는 의미 있는 총회"라고 의미를 밝혔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