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권 즉각 퇴진·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이 8일 광주 전일빌딩245에서 '광주선언문'을 발표한 뒤 구호를 외치고 있다. 한아름 수습기자광주시민 10명 중 7명이 개헌을 원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광주지역 탄핵 찬성집회를 주도한 '윤석열 정권 즉각 퇴진 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이하 광주비상행동)은 8일 오후 2시 전체대표자회의를 열고 개헌 시기를 물은 시민여론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광주비상행동이 진행하고 광주시민 4천여 명이 응답한 시민여론조사를 보면, '대선과 동시 개헌'이 필요하다고 답한 시민의 비율은 41%, 2026 지방선거와 동시 개헌을 바라는 시민은 17.1%, 대선 전에 개헌을 바라는 시민은 16%였다.
위경종 광주비상행동 공동대표는 "개헌을 바라는 시민이 전체응답자의 75%에 육박하는 것은 현재 정치권에 대한 굉장한 불신이 우리 시민들 안에 내재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면서 "사회대개혁을 위해서 정치권은 국민들에게 언제 어떻게 개헌을 하겠다는 분명한 약속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석열정권 즉각 퇴진 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 4차 전체대표자회의' 참가자가 지난 활동 현황 보고자료를 읽고 있다. 한아름 수습기자또 광주비상행동은 지난 주요활동 현황을 보고하고 향후 진로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모인 단체 대표자 50여 명은 개헌과 내란 세력 종식을 통해 근본적인 사회대개혁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광주선언문을 대표로 낭독한 박미경 광주비상행동 공동대표는 "내란 우두머리를 파면시켰을 뿐 내란은 아직 완전히 진압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류봉식 공동대표는 "불법 내란세력을 철저히 처벌하고, 제7공화국 개헌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전체대표자 회의에 참석한 이들은 모두 개헌 필요성에 대해서는 동의했으나 시기와 방법에 대한 입장 차이는 존재했다. 한 대표자는 "시민 참여 없는 정당 중심의 개헌은 절대 안 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표자는 "대선 전 개헌 혹은 대선과 동시에 개헌하는 방식으로 1차적 개헌이 빠르게 논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개헌 논의를 성급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나왔다. 회의에 참석한 한 대표자는 "무슨 개헌론이냐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며 "시간이 없다고 해서 충분한 논의 없이 진행하면 안 되고, 충분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날 광주선언을 채택한 광주비상행동은 단체의 명칭을 변경하고 여러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광주비상행동은 오는 9일 '광주가 묻고 야6당이 답하다'라는 주제의 정당초청 국회 토론회에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