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금융당국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일당의 부당이득 규모를 660억원대로 특정해 검찰에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당초 100억원대로 알려졌던 부당이득 규모보다 훨씬 큰 데다, 윤석열 정권의 권력형 주가조작 의혹에 대한 강제수사 필요성도 고발 취지에 넣어 향후 수사가 주목된다.
24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는 삼부토건의 현재 실소유주인 이일준 회장 측과 조성옥 전 회장 측 등이 주가조작을 통해 총 660억원대의 부당이득을 취했다고 보고 전날 검찰에 고발했다.
이 회장 측과 조 전 회장 측이 삼부토건의 담보주식 반대매매를 방지하고 보유주식을 고가에 매도하기 위해 거짓으로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뛰어드는 모양새를 만들었다고 금융당국은 판단했다. 이 회장은 2023년 2월 인수한 삼부토건 주식 대부분을 증권사에 담보로 제공하고 돈을 빌렸다가 두 달 만에 주가가 하락하면서 담보주식이 반대매매 될 상황에 처해 있었다. 주가부양을 통해 이 회장은 반대매매를 막는 동시에 주식담보 일부를 해제해 삼부토건 경영권을 방어하고, 조 전 회장은 나머지 보유 중이던 주식을 고가에 팔아 부당이득을 챙겼다는 게 금융당국의 결론이다.
삼부토건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추진할 능력도, 의사도 없었다고 한다. 심지어 재건사업 담당자가 1명에 불과해 실질적인 사업 추진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었음에도 곧 대규모 재건사업을 진행하는 것처럼 과장된 보도자료를 배포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3년 5~6월 사이 해외 기업 등과 형식적인 양해각서(MOU)를 반복적으로 체결하며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것처럼 속여 투자자들을 기망하고 주가를 부양했다는 게 금융당국의 조사 결과다.
'김건희' 빼면서도 '강제수사' 촉구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황진환 기자금융당국은 이번 고발 대상에 김 여사와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를 뺐다. 애초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의 불씨를 당긴 두 사람만 고발 대상에서 제외된 상황이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서 김 여사의 계좌를 관리한 것으로 알려진 이 전 대표가 삼부토건의 주가급등을 미리 인지한 듯한 정황이 알려지며 김 여사 연루 의혹이 깊어졌다.
이 전 대표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구명 로비 의혹'의 발단이 됐던 해병대 예비역 단체 대화방에서 "삼부 내일 체크하고"라는 메시지를 남겼다. 이씨가 이 채팅을 한 것은 2023년 5월로, 삼부토건 주가 급등 직전이었다. 야권은 이번 사건을 '대통령 권력을 이용한 카르텔 범죄'로 규정하고 패스트트랙(신속 수사 전환) 등 조사에 속도를 내라고 주문해왔다. 그러나 약 8개월간의 조사 끝에 증선위는 이씨와 김 여사를 뺀 관련자들을 고발하는 데 그친 것이다.
다만 증선위는 고발 취지에 이씨와 김 여사의 주가조작 연루 의혹이 확산하고 있어 '신속한 강제수사가 불가피하다'는 내용도 포함시켰다. 금감원 단계에서 주변 계좌 조사 등만으로 혐의를 특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 전 대표와 김 여사의 주가조작 연루 의혹에 대해선 검찰의 강제수사를 통한 규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명시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