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올해 1분기 한국 경제가 건설·설비투자와 민간소비 등 내수 부진의 영향으로 세 분기만에 또 뒷걸음쳤다.
이에 따라 올해 연간 경제 성장률도 당초 한국은행이 예상한 1.5% 보다 크게 낮아질 전망이다.
한은은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2%로 집계됐다고 24일 발표했다. 이는 한은이 지난 2월 발표한 공식 전망치 0.2%보다 0.4%포인트(p) 낮은 수치다.
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1.3% 성장 이후 2분기에 -0.2%까지 떨어졌고, 3분기와 4분기 0.1% 성장에 그치다가 다시 역성장으로 뒷걸음쳤다.
한은은 지난 17일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와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등의 영향으로 올해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시사한 바 있다.
1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오락문화·의료 등 서비스 소비 부진으로 전 분기보다 0.1% 줄었다.
정부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지출이 줄면서 0.1% 감소했다.
특히 건설투자는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투자 감소의 영향으로 3.2%나 줄었고, 설비투자도 기계류 중심으로 2.1% 감소했다.
수출은 화학제품·기계·장비 등의 부진으로 1.1% 감소했다. 수입도 원유·천연가스 등 에너지류 중심으로 2.0% 줄었다.
1분기 성장률에 대한 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각 -0.4%p, -0.2%p를 기록해 성장률을 깎아내렸다. 민간소비(0%p)와 정부소비(0%p)는 성장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업종별로는 전기·가스·수도업이 7.9% 성장했고 농림어업도 3.2% 증가했다.
제조업은 화학물질·화학제품·기계·장비 등 위주로 0.8% 줄었고, 건설업도 건물건설 부진으로 1.5% 감소했다.
1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도 지난해 4분기보다 0.4%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