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르포]자고 나면 또 백종원 논란…예산시장은 지금…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오너 리스크' 직격탄 맞은 예산시장
곳곳에 배인 백종원 흔적
논란 뒤 방문객 감소세 뚜렷
상인들 "매출 줄어", "안 좋아 하는데 어쩌겠나"
"방치된 시장 백종원이 살려" 여전한 지지도

예산시장 평일(왼쪽)과 주말 모습. 김미현·최은지 인턴 기자예산시장 평일(왼쪽)과 주말 모습. 김미현·최은지 인턴 기자예산시장이 백종원 대표와 더본코리아를 둘러싼 잡음으로 흔들리고 있다.

1926년 시작된 예산시장은 과거 사람들이 많이 찾던 재래시장이었지만, 지역 소멸 위기와 겹쳐 방문객이 뜸해졌고 쇠락의 길을 걸었다. 하지만 백종원이 대표로 있는 더본코리아와 예산군이 상권 회복과 지역 활성화를 위해 나서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리모델링을 거친 시장은 2023년 1월 새롭게 단장을 마친 뒤 재개장했다.

예산시장의 성공 요인은 가성비 보다는 백종원이라는 셀럽의 손을 탔기 때문이라고 보는 게 맞다. TV와 신문 등 레거시 미디어에 빈번하게 노출되고 각종 SNS에 체험기와 관련 사진이 올라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이를 벤치마킹하려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생겨났다.

그러나 2023년 예산시장에서 열린 맥주 페스티벌에서 더본코리아 협력업체가 금속제 검사를 실시하지 않은 조리도구로 바비큐를 만들어 판매한 사실이 최근 적발됐다.

이 밖에도 백종원과 그가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더 본 코리아와 관련해 빽햄 가격 논란, 식품 위생 문제, 원산지 표시, 식품 표시광고법 위반 등 부정적 이슈들이 부각되면서 시장을 찾는 발길이 줄어드는 추세다.

백종원 대표는 공식 홈페이지에 두 차례 사과문을 올리며 "현 상황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전사적 혁신에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발길 끊긴 시장, 장터엔 상인들 한숨만

김미현·최은지 인턴 기자김미현·최은지 인턴 기자
서울역에서 무궁화호를 타고 2시간 정도 지나면 예산역에 도착한다. 여기서 차로 10분 정도 가면 백종원 입간판이 서 있는 예산시장을 만나게 된다.

16일 찾은 예산시장은 평일이라서 그런지 한산했다. 장터광장 테이블 100여 개 중 10여 곳 정도만 손님이 있었다. 손님이 많지 않다보니 시장 곳곳에 있는 백종원의 흔적이 눈에 잘 들어왔다. 더본코리아의 '백걸리' 홍보 포스터는 가게 밖에 붙어있었고, 백종원의 사진이 담긴 현수막들도 시장 곳곳에  걸려있었다.

예산시장의 인기를 보여주듯 장터광장 곳곳에는 테이블 대기 접수 안내문이 붙어있었지만 대기 인원은 찾아볼 수 없었다. 가게 앞에 설치된 고객 대기선도 텅 비어 썰렁함을 더했다. 평일과 주말을 가리지 않고 북적이던 예전과는 확연히 달라진 풍경이었다.

문을 닫은 가게도 눈에 띄었고, 상인들은 한가롭게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지나가는 방문객은 "왜 이렇게 닫은 데가 많아"라고 중얼거리기도 했다.

김미현·최은지 인턴 기자김미현·최은지 인턴 기자
19일 토요일. 다시 방문한 예산시장은 평일이던 사흘 전 보다는 사람들이 많았다. 장터광장은 식사 중인 관광객들로 가득찼고, 일부 음식점에는 대기 줄이 길게 늘어섰다. 하지만 시장의 상인들은 백종원 논란이후 방문객이 줄은 것은 맞다고 입을 모았다.

빵집을 운영하는 상인은 "타격이 크다. 평일은 매출이 거의 4~50% 떨어졌다"고 한숨을 쉬었다. 시장 앞 노점 상인은 "평소에 비해 매출이 3분의 1 수준"이라고 말했다.

손님들도 분위기 변화를 체감하는듯 했다. 아산에서 온 정 모(35) 씨는 "한창 유명할 때 두 번 정도 왔었는데 그 때는 줄 서서 먹을 정도로 되게 화젯거리였지만 지금은 그런 분위기는 사그라졌고 그냥 일반 시장 같다"며 낯설어 했다.  

예산군 집계에 따르면, 빽햄 논란 직후인 지난 1월 19일부터 3월 23일까지 예산시장 방문객은 66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6만 명에 비해 20만 명 감소했다. 특히 4월 1일부터 22일까지는 3만 4천 명에 그쳐 논란 이후 감소세가 더욱 뚜렷해졌다.

상인들 반응 엇갈리는데…대규모 사업은 여전히 '현재진행형'


시장 상인들은 백 대표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예산시장에서 2년째 가게를 운영 중인 상인은 "백종원 대표도 처음엔 자주 내려왔는데 요즘은 안 오고, 더본코리아 직원들도 요즘은 잘 안 보인다"고 불만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백종원 논란 이후 타격이 있다고 했다. 적자라고 했다.

호두과자를 판매하는 상인은 "그 전보다는 매출이 줄었지만, 한 번 생긴 논란이 다시 좋아질 거라는 생각은 안 든다"라면서 "사람들이 안 좋아하는데 어쩌겠나. 어쩔 수 없이 안고 가야 한다"고 한숨 쉬었다.

백 대표를 응원하고 지지하는 상인들도 많았다. 

시장에서 꽈배기를 판매하는 이 모(45) 씨는 "시장이 방치돼 있었는데 백종원 대표가 다 살렸다"고 말했고. '불판 빌려주는 집'의 50대 직원은 "최근 논란의 여파도 있을 테지만 시장 자체가 개장한 지 좀 지났다 보니 처음만큼 붐비지 않는 것도 사실"이라며 손님이 줄어든 게 백 대표의 탓은 아니지 않겠냐고 옹호했다.

여러 논란과 관광객 감소에도 불구하고 예산군은 올해 루프탑 조성 등 대규모 사업을 예정대로 추진하고 있다. 예산군과 더본코리아가 협력하는 프로젝트는 맥주 페스티벌, 더본 호텔 등 15개로 237억 원 규모다.

논란 속 시장 찾은 이들…시민 반응은 '온도차

김미현·최은지 인턴 기자김미현·최은지 인턴 기자
시장을 찾은 방문객은 '논란과 관광은 별개'라는 입장이다. 인근에 번화한 상권이 없어 어쩔 수 없이 예산시장을 찾는다는 것이다.

공주대학교 예산 캠퍼스에 다니는 정지우(20) 씨는 "예산시장 말고는 주변에 즐길 거리나 상권이 아예 없다"며 "논란 인지는 하고 있지만 학교 근처 상권이 없다 보니 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주에서 온 유희진(34) 씨는 "사람은 사람이고 음식은 음식"이라며 논란에 개의치 않고 왔다고 전했다.

백종원 대표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나오고 있다. 군포에서 왔다는 정유정(53) 씨는 "백 대표가 지역 상권 활성화에 큰 기여했다. 백 대표 아니었으면 굳이 예산을 들리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천안에서 온 류미숙(59) 씨는 "백종원 덕분에 젊은 분들이 많이 방문하고 있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아슬아슬한 지속가능성…'백종원 의존'의 그림자


명인 한 사람의 명망에 기대는 방식은 '단기 처방'에 불과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예산시장은 백종원 대표의 브랜드와 영향력에 크게 의존해 성장했다. 하지만 최근 논란이 방문객 감소와 상인들의 매출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특정 인물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시장의 자생력을 위협하는 구조적 한계로 드러나고 있다.

임대료 급등에 따른 젠트리피케이션 우려, 상인과 주민의 불안감, 그리고 협력사업의 차질 가능성까지 겹치며 예산시장의 지속가능성은 그 어느 때보다 불투명해졌다.

이삼열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는 "이번 사태는 스타 마케팅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백종원의 성과가 분명한 만큼, 대안 없이 비판만 이어져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 교수는 이어 "지자체에서는 지역 상권 활성화나 축제 개최를 위해 외부 업체에 용역을 맡길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더본코리아처럼 노하우와 스타성을 갖춘 역량있는 기업들이 늘어나, 업체 간 경쟁하는 구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특히 "더본코리아 역시 상장 기업인만큼, 백종원 한 사람에 기대기 보다 걸맞은 위기 관리 능력을 갖추고 현재 나오는 지적들을  수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1

2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4

새로고침
  • KAKAO가마구2025-04-27 21:02:13신고

    추천1비추천0

    과도기여
    백종원이 언제까지 입에다 떠 넣어줘야
    스스로 상생하는 법을 깨우쳐야
    앞날이...
    솔직히 용된건 사실이지

  • GOOGLE광복8152025-04-27 02:08:33신고

    추천4비추천1

    집밥백선생이란 인간이 메스컴을 잘타더니 언제부터 요리전문가가 되고 대한민국 요식업에 문어발식 손을데냐?? 파는 음식에 농약 기준치가 넘어섰다면 부끄러운줄 알아야지!

  • NAVER레베2025-04-26 15:59:43신고

    추천3비추천7

    그래도 백종원이 끼친 좋은 영향력이 더 크다.
    뭐라고 해도 이 만한 인물 저 업계에는 없지 않을까 싶은데....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