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정부가 관계기관 합동으로 비상대응반 회의를 열고 미국의 이란 공습에 따른 중동 사태 동향과 국내외 경제 영향을 긴급 점검했다. 정부는 금융·실물경제 동향을 24시간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 즉각 조치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22일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 주재로 컨퍼런스콜을 열고 향후 대응방안 관련 이같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엔 외교부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금융위원회 및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관계자가 참여했다.
이 대행은 현 상황에 대해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으로 중동 사태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해 향후 이란의 대응 양상 등에 따라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고 진단하고, 각 기관에 각별한 경계심을 갖고 특이동향 발생 시 긴밀한 공조 하에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시행할 것을 주문했다고 기재부는 전했다.
정부에 따르면 지난 13일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이후 현재까지 국제유가가 상승하고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도 다소 확대된 모습이나, 아직까지 국내 에너지 비축·수급은 차질 없이 이뤄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해운·물류에서도 중동 인근의 우리 선박(31척)이 안전 운항을 지속하는 등 특이사항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향후 사태 전개의 불확실성이 매우 큰 만큼 정부는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을 중심으로 중동 현지상황 및 금융·에너지·수출입·해운물류 등 부문별 동향을 24시간 점검하고 필요시 상황별 대응계획(Contingency plan)에 따라 신속히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금융시장이 우리 경제 펀더멘털과 괴리돼 과도한 변동성을 보일 경우 즉각적이고 과감하게 조치하고, 에너지 수급 관리에도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수출입· 물류 영향 최소화를 위해 중동지역 수출 피해기업 유동성 지원, 중소기업 전용 선복 제공 등 지원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물류 경색 우려 확대 시 임시선박 투입 등 추가적인 지원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정부는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