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26년도 식의약 안전관리 정부 예산안을 8122억 원으로 편성했다. 올해 예산(7489억 원) 대비 8.4%(633억 원) 늘어난 규모다.
식약처는 3일 새 정부 국정과제 수행과 재정 효율화를 위해 역점사업 위주로 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예산안은 △제약·바이오헬스 안전 및 혁신성장 기반 확충 △규제환경 고려 맞춤형 식의약 안전지원 강화 △먹거리 안전 및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 △미래 대비 선제적 안전관리 체계 구축 등 4개 분야에 집중됐다.
희귀·필수의약품 공급 기반 강화에는 67억 원, 화장품 안전관리 강화에는 50억 원이 배정된다. 유럽·중국의 안전성 평가나 할랄 인증 등 수출 장벽 해소를 위한 컨설팅 및 규제 대응 사업도 포함됐다.
식약처는 인공지능(AI) 응용제품의 신속한 상용화를 위해 150억 원을 신규로 편성해, 식품·의료기기 분야의 신제품 시장 진출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대학생 대상 마약 예방교육 대학을 20개에서 40개로 늘리고, 중독자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도 수립한다.
규제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예산도 총 1054억 원으로 대폭 확대된다. 식의약 규제과학 혁신지원 예산은 기존 5억 원에서 114억 원으로 늘고, AI 기반 신기술 제품 심사 가이드라인 개발, 수출허가지원 거점 운영, 규제과학 전문인재 양성사업도 추진된다.
먹거리 안전 분야 예산은 총 1871억 원으로, 온라인 식의약 안전관리(30억 원), 농축수산물 안전관리(78억 원) 등이 포함됐다. 기후 변화에 따른 식중독균, 패류독소 등 위해요소 예측 시스템이 새로 구축되고, 영세 식품업체 대상 스마트 해썹(HACCP) 재정지원도 강화된다.
발달장애인을 위한 식이 섭취 실태 조사와 식단 개발 등 영양관리 프로그램도 새롭게 추진된다.
의약품 허가·심사 자동화 시스템 구축에는 177억 원이 배정됐다. 2026년 제네릭의약품부터 시작해 2028년에는 신약까지 확대될 계획이다. 마약류 수사 확대에 따라 디지털포렌식 인력과 장비도 확충되며, 신종마약류 표준물질 합성과 의존성 평가도 확대된다.
식약처 관계자는 "2026년 예산안이 국회 심의과정을 거쳐 확정되면 새 정부 국정과제 및 역점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