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2분기 GDP 0.7% 반등…소비·수출이 성장률 견인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속보치보다 0.1%P↑…민간소비 0.5%↑·정부소비 1.2%↑
내수 0.4%p·순수출 0.3%p 기여…연속 역성장 탈출
투자 부진 지속…건설 1.2%↓·설비 2.1%↓

수출 대기 중인 자동차. 연합뉴스수출 대기 중인 자동차. 연합뉴스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전분기 대비 0.7% 성장했다.소비 회복과 수출 호조 등에 힘입은 결과다.다만 건설·설비투자는 전분기에 이어 역성장을 이어갔다.
 
3일 한국은행은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잠정치)이 0.7%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 7월 속보치(0.6%)보다 0.1%포인트(p) 올랐다.
 
성장률 흐름을 보면 지난해 1분기 1.2%로 '깜작 성장'했지만 2분기 -0.2%로 하락했고, 3분기와 4분기 각각 0.1%로 정체됐다가 올해 1분기(-0.2%) 다시 하락했다.
 
부문별로는 민간 소비가 승용차·의료 등을 위주로 0.5% 증가했고, 정부 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중심으로 1.2% 늘었다.
 
수출은 반도체·석유화학제품 등의 호조에 힘업어 4.5% 증가했다. 수입도 원유·천연가스 등 에너지류를 중심으로 4.2% 늘었다.
 
그러나 건설투자는 토목 건설 부진 등으로 1.2% 감소했고, 설비투자도 선박·반도체제조용기계 위주로 2.1% 줄었다.
 
건설투자(+0.4%p)와 수출(+0.4%p),지식재산생산물투자(+1.1%p) 성장률이 속보치보다 상향 조정됐고,설비투자(-0.6%p)는 더 하향했다.
 
2분기 성장률 기여도는 내수와 순수출(수출-수입)이 각 0.4%p, 0.3%p로 성장률을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수 기여도는 1분기(-0.5%p)와 비교해 큰 폭으로 개선됐다.
 
내수 가운데는 민간 소비와 정부 소비 기여도가 각각 0.2%p로 성장을 견인했다. 반면 건설투자(-0.1%p)와 설비투자(-0.2%p)는 성장률을 깎아내렸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컴퓨터·전자·광학기기·운송장비 위주로 2.5% 성장해 1분기 역성장(-0.6%) 이후 반등에 성공했다. 서비스업도 도소매·숙박음식업·운수업 등이 회복하면서 0.8% 늘어, 1분기(-0.2%) 이후 반등했다.
 
그러나 건설업은 건물·토목건설이 모두 줄면서 3.6% 급감했고,전기·가스·수도업도 전기업을 중심으로 5.4% 역성장했다. 농림어업도 농축산업과 관련 서비스업,어업 등이 모두 부진해 1.2% 뒷걸음쳤다.
 
2분기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직전 분기보다 2.0% 늘었고, 실질 GNI도 1.0% 증가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