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상공회의소 제공대구지역 기업들은 주 4.5일제 도입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상공회의소가 지역기업 444개사를 대상으로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기업 인식 조사를 한 결과 주 4.5일제 도입에 대해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67.9%로 다수를 차지했다.
'긍정적'응답은 32.1%에 그쳤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75.6%로 가장 높았고, 유통업은 52.9%,건설업 52.4%로 부정적 인식이 높았다.
주 4.5일제 도입이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응답한 이유로는 생산성 저하가 42.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추가 인건비 부담 23.4%, 인력 운영의 어려움 14.6%, 업종별 적용 한계 11.7%, 고객 응대 어려움 5.8%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 4.5일제 도입이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응답한 이유로는 일과 삶의 균형 개선이 49.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 직원 만족도 증가 37%, 업무 몰입도 향상 13.6% 순으로 조사됐다.
주 4.5일제에 대해 도입 의향 없다라는 응답이 76.2%를 차지한 반면, 도입 의향 있다라는 응답은 23%에 그쳤고 이미 도입하여 시행 중이라는 응답은 0.8%에 불과했다.
주 4.5일제에 대해'도입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 중 34.5%가 적정 도입 시기를 1년 이내로 꼽았고, 이어 2년 이내 25.9%, 6개월 이내 15.5%, 3년 이내 13.8%, 3년 이후 10.3% 순으로 응답했다.
대구상공회의소 이상길 상근부회장은 "주 4.5일제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생산성 혁신과 함께 정부 차원의 임금보전, 세제 인센티브 등 실질적인 지원책이 병행돼야 한다"며 "기업 경쟁력 유지와 일·생활 균형을 함께 실현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