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이대로면 2065년 국가채무비율 156.3%…국민연금 2064년 기금 고갈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인구·성장률 따라 5개 시나리오 분석…최악의 경우 국가채무비율 173.4%까지 오를 수도
국민연금, 2048년 적자 전환, 2064년 기금 고갈…건강보험은 당장 2026년 적자 전환 예고

연합뉴스연합뉴스
현재의 인구 구조와 경제 성장세가 유지된다면 국민연금 기금이 2064년 고갈되고, 건강보험도 2033년부터 준비금이 다 소진될 것이라는 정부 예상이 발표됐다.

또 GDP(국내총샌산)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2065년 15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돼 성장률 제고는 물론, 국민연금 등 사회연금·보험과 재정을 혁신해야 한다고 지적됐다.

기획재정부는 3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5~2065년 장기재정전망 실시 결과를 국가재정운용계획 첨부서류로 국회에 제출했다.

이번 장기재정전망은 2015년, 2020년에 이어 세 번째 전망으로, 기재부는 국가재정법에 따라 5년에 한 번씩 향후 40년간 장기재정전망을 하고 그 내용을 국회에 보고해야 한다.

인구·성장 시나리오별 국가채무비율 전망. 기획재정부 제공인구·성장 시나리오별 국가채무비율 전망. 기획재정부 제공
기재부는 이번 전망에서 2065년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에 대해 인구·성장 수준의 가정에 따라 5개 시나리오를 분석했다.

우선 △현재 인구감소 및 성장률 하락 추세가 유지되는 경우, 2065년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156.3%에 달할 것으로 추계했다.

5년 전 전망에서 별다른 정책 대응 없이 기존 인구·성장률 추이가 지속될 때 2045년 국가채무비율이 99%에 달했다가 천천히 하락해 2060년 81.1%에 달할 것이라던 예상보다 크게 악화된 결과다.

이 경우 한국의 실질 경제성장률이 2055년~2065년 구간에 0.3%로 곤두박질 쳐, 2025년~2035년의 예상치 1.7%보다 1.4%p나 하락할 것으로 봤다.

또 합계출산율은 2025년 0.65명에서 2065년 1.08명으로 개선되더라도 생산연령인구가 3591만 명에서 1864만 명으로 떨어지고, 고령화율이 20.3%에서 46.6%로 치솟을 것으로 봤다.

만약 △정부가 인구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 효과를 본다면 2065년 합계출산율이 1.34명까지 오르고, 생산연령인구도 2170만 명에 달해 고령화율이 44.1%에 그치면서 국가채무비율이 144.7%로 떨어질 것으로 봤다.

반면 △인구상황이 지금보다 더 악화돼 합계출산율이 0.82명에 불과하고, 생산연령인구는 1575만 명으로 하락해 고령화율이 49.1% 달하면 국가채무비율도 169.6%로 치솟을 전망이다.

또 △성장률 제고 정책이 성공하는 등 정부가 성장률 상승에 적극 대응한다면 2055년~2065년 실질성장률이 0.8%를 유지하며 국가채무비율이 133.0%로 떨어지지만, △2055년~2065년 실질성장률이 0.0%로 가라앉으면 국가채무비율도 173.4%까지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예상치들은 앞서 지난 2월 국회 예산정책처가 2072년 국가채무비율을 173.0%로, 2021년 12월 KDI(한국개발연구원)이 2060년 국가채무비율을 144.8%로 각자 예측했던 것과도 비슷한 수준이다.

기재부는 구체적으로는 향후 20년 동안 재량지출 순증분의 5%씩 줄이는 작업을 누적한 후 기존 추세를 유지한다면, 2065년 국가채무비율이 6.0%p 감소할 것이라고 봤다. 또 의무지출 순증분에 대해 같은 대응을 한다면 2065년 국가채무비율이 17.6%p 줄어드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미세한 수준의 변수 조정의 효과가 장기간 누적되어 나타나므로, 저출생 대응, 성장률 제고, 지출 규모, 수입 확대 등 변수가 달라지면  전망의 결과가 크게 바뀔 수 있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또 OECD도 지난해 7월 한국경제보고서에서 한국의 일반정부부채(D2)를 2060년 154.0%로 전망해지만, 구조개혁 등을 통해 고령자·청년·여성 고용이 증대되고, 이민 증가,정년 연장이 될 경우 64.5%까지 낮아질 수 있다고 전망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기재부는 국가채무비율이 증가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저출생·고령화에 따른 의무지출 증가, 성장 둔화 등을 꼽았다. 기재부는 GDP 대비 의무지출 비율도 올해 13.7%에서 2065년 23.3%까지 증가할 것으로 봤다.

국민연금의 기준 시나리오 주요 추계결과(왼쪽)와 인구·거시 전제별 주요 지표(오른쪽). 기획재정부 제공국민연금의 기준 시나리오 주요 추계결과(왼쪽)와 인구·거시 전제별 주요 지표(오른쪽). 기획재정부 제공
사회보험 재정 역시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 변화로 고갈 위험에 시달리게 된다.

국민연금은 2048년 적자로 전환해 2064년 기금이 고갈될 것으로 예상됐다. 사학연금은 2026년 적자전환, 2047년 기금고갈이 전망됐고, 공무원·군인연금은  2065년 GDP 대비 재정수지는 각각 -0.69%, -0.15%씩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 역시 2026년 적자로 전환돼 2033년 준비금을 소진하게 되고, 노인장기요양보험은 2026년 적자전환, 2030년 준비금 소진이 예고됐다. 이들 두 보험은 수지 균형을 위해 보험료율을 조정할 수 있지만, 보험료율이 법적 상한선인 8%에 도달한 후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가정한 결과다.

다만 산재·고용보험은 2065년 GDP 대비 재정수지는 각각 +0.26%, +0.18% 흑자를 지킬 것으로 기대됐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향후 40년간 제도변화가 없다는 가정을 전제로 국가 재정상태를 기계적으로 추계한 것"일 뿐이라며 "인구·성장 제고, 지출 절감, 수입 확대, 사회보험 개혁 등 정책 대응에 따라 전망 결과가 매우 큰 폭으로 변화"할 수 있다면서 정부의 정책적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성장률 제고를 통한 재정-성장 선순환 구조 구축 △수입기반 확충 △지출관리 △사회보험 개혁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추격경제에서 선도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AI대전환·초혁신아이템 등에 과감히 투자하고, 저성과 부문은 구조조정하는 등 성과 중심 재정운용을 통해 경제 선순환 구현을 구현하겠다는 것이다.

또 비과세·감면 정비, 탈루세원 확보 및 세부담 합리화 등을 통해 안정적인 재정 수입기반을 마련하고, 재정운용 효율화를 위한 재정혁신도 계속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사회보험 지속가능성을 위해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사회보험의 재정구조 개선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짚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