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천안문 망루에 선 김정은…1959년 김일성, 2015년 박근혜 비교해보니[영상]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은둔의 지도자' 이미지 단번에 털어내
1959년 김일성 때보다도 상석의 의전
2015년 박근혜 의전과 유사
우원식과 최룡해의 자리배치, 남북동선 통제
김정은 금색 넥타이와 박근혜 금색 상의 비교

연합뉴스연합뉴스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3일, 집권 후 다자외교 무대에 한 번도 서지 않은 '은둔의 지도자' 또는 '국제사회의 왕따' 이미지를 단번에 털어버렸다.
 
김 위원장은 이날 중국의 전승 80주년을 기념하는 열병식 참관을 위해 26개국 정상들과 천안문 망루에 올랐다. 그것도 반미연대를 주도하는 시진핑 중국 주석의 바로 왼쪽에 자리했다.
 
시 주석의 오른 편에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위치했으니 시 주석을 중심으로 북·중·러 3국 정상들이 나란히 서는 상징적인 장면이 연출됐다.
 
이 장면 하나로 김 위원장은 '은둔의 독재자'에서 반미연대를 주도하는 주요국가의 정상으로 탈바꿈하는 이미지 자산을 얻게 됐다.
 
그 동안 국제외교 무대에서 정상적 외교활동을 해온, 그리고 이번에 천안문 망루에 함께 오른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국가 대표들은 북한의 갑작스런 변신에 당혹감을 느꼈을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전승 80주년 열병식에서 김 위원장에게 주어진 위치는 지난 1959년 중국의 건국 10주년 국경절 열병식 때 할아버지 김일성에 주어진 자리보다 상석이다.
 
당시에는 마오쩌둥 중국 주석을 중심으로 왼쪽엔 니키타 흐루쇼프 서기장, 오른쪽엔 호찌민 초대 베트남 국가주석이 자리했다. 김일성 주석은 마오쩌둥 주석 기준 왼쪽에서 네 번째 자리에 위치했다
 
반면 김 위원장은 이번에 천안문으로 올라가는 계단과 망루에서 시 주석 바로 왼편에 있었고, 천안문 광장에서 기념사진을 찍을 때는 시 주석과 펑리위안 여사 왼쪽 옆에 자리를 잡았다. 중국이 과거 김일성 주석 때보다 외교 의전에서 김 위원장을 더 배려한 셈이다.
 
연합뉴스연합뉴스
이는 지난 2015년 같은 행사인 중국 전승 70주년 기념 열병식 때 박근혜 당시 대통령에 대한 중국의 외교 의전과도 비교된다.
 
박 전 대통령은 당시 천안문으로 오르는 계단에서 시진핑 주석 왼편에 섰다. 시 주석 오른 편에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있었기 때문에 이번과 똑같은 구도가 연출된 바 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다만 천안문 망루에서는 시 주석의 오른쪽 바로 옆에 푸틴 대통령이 서고 그 다음에 박 전 대통령이 자리해 이번과는 차이가 있었다. 그럼에도 당시 시 주석 왼쪽으로는 중국 혁명의 원로들이 나란히 자리를 했기 때문에 이번 김정은에 대한 의전과 일률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아이러니한 것은 당시 북한의 최룡해 당 비서도 천안문 망루에 올랐는데, 박 전 대통령의 오른쪽 끝 부분에 위치해 사실상 조우가 불가능했다는 점이다.
 
이번 우원식 국회의장에 대한 자리 배치도 푸틴 대통령의 오른쪽 끝으로 당시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남북의 동선을 최대한 얽히지 않게 하려는 북한 또는 중국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우 의장은 열병식 전에 김 위원장과 악수를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김 위원장은 이번 행사에서 검은색 양복에 밝은 금색 넥타이를 착용했다. 박 전 대통령은 당시 좀 더 짙은 황금색 상의를 입었다. 중국에서 금색은 복을 가져다준다는 의미가 있어 인민들이 좋아하는 색으로 알려진 만큼 중국에 대한 배려의 의미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박 전 대통령은 당시 한중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며 "앞으로 조속한 시일 내에 한반도 평화통일을 어떻게 이루어나갈까에 대해 중국과 다양한 논의가 시작될 것"이라며 대중외교에 대한 자신감을 강하게 피력한 바 있다. 그러나 한중 관계는 2016년 사드배치 문제로 파국에 이르게 된다.
 

南이든 北이든 전략적 이익에 냉정히 반응하는 중국 

연합뉴스연합뉴스
김 위원장은 이번에 천안문 망루에 오르면서 러시아만이 아니라 다소 껄끄러웠던 중국과의 관계도 완전히 회복했다. 북·중·러 진영의 결속 속에 북한이 핵 무력을 보유하면서도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다양한 경제적·군사적·외교적 지원을 얻어 국가생존과 발전을 이어갈 수 있는 토대를 다진 것으로 평가된다.
 
유엔 제재 속에서도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대규모 지원을 얻어내는 '핵보유국 인정'의 효과를 의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자신의 첫 다자외교무대에 딸 김주애를 대동해 데뷔시킴으로써 4대세습의 기틀도 강화하려는 것으로 관측된다.
 
그런데 김일성 주석이 천안문 망루에 오른 뒤 30여년 후 중국은 한국과 수교를 하는 선택을 했다. 천안문 망루에 오른 박 전 대통령은 미국의 집중적인 견제를 받았고, 중국과의 외교도 사드배치 문제와 한한령 등으로 파국을 맞이했다.

중국은 남한이든 북한이든 동북아의 지정학적·전략적 이익에 매우 냉혹하게 반응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