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폐원단 조각 일부로 원사와 원단을 다시 만들고, 중간가공연료는 시멘트 생산 시 연료로 사용하는 자원 재활용 사업이 정부 주도로 추진되고 있다.
환경부는 9일 세종시 환경부 별관 회의실에서 봉제공장 등에서 발생한 폐원단 조각의 재활용체계 구축을 위한 시범사업 업무협약을 △방림 △세왕섬유 △신한방직과 △쌍용씨앤이 △아세아시멘트 및 △한국섬유자원순환협회와 체결한다고 밝혔다.
앞서 환경부는 서울 4개 기초 지자체(종로·동대문·성동·도봉구청) 및 한국섬유자원순환협회와 지난해 1월 업무협약을 맺고, 폐원단 조각을 물질재활용 중심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진행해 왔다. 소각·매립되던 폐원단 조각은 재질별 분리배출과 선별·재활용하는 시범사업을 통해 신발 중창, 자동차 흡음재, 보온덮개 등으로 탈바꿈된다.
이번 협약을 통한 시범사업은 기존 협약의 재활용의 범주를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선별된 폐원단 조각에서 솜을 생산해 원사·원단 및 의류 제품 등의 원료로 사용하고, 일정 규격과 재질로 선별·가공된 중간가공연료는 시멘트사에 연료로 쓰인다.
한국섬유자원순환협회는 폐원단 조각의 분리·선별을 통해 협회 회원사 및 협약 당사자에게 원료 공급과 재활용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방직·원단 업계는 선별·가공을 통해 생산된 방직·원단 원료의 사용과 생산된 제품의 수출·판매를 지원하고, 시멘트업계는 선별·재활용된 원단중간 가공연료의 원활한 처리를 지원한다.
환경부는 폐원단 조각의 분리배출·수거 및 재활용 체계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과 제도 정비 등을 추진한다. 폐원단 조각 재활용 성과도 지속 평가해 정책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환경부 김고응 자원순환국장은 "폐기물의 분리·선별과 재활용은 고품질 재활용 원료의 생산을 위한 필수 요소"라면서 "순환체계 정립을 위해 우수한 재활용 원료의 공급과 수요처 확보가 상호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찾아내 확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