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우천리고분군. 경남도청 제공 경상남도는 내년도 국가유산청의 역사문화권 중요 유적 발굴조사 사업에서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많은 8건의 사업을 따냈다고 15일 밝혔다.
이 사업은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해 각 지역의 비지정 중요 유적 발굴·조사로 역사적 가치를 규명하고, 체계적인 보존·정비·활용 기반을 마련하고자 국가유산청과 경남도가 지원한다.
지난 2024년 함안 봉산산성·창녕 구진산성·합천 소오리고분군 등 3건(8억 5400만 원), 올해 진주 원당고분군·거제 방하리고분군·함양 척지토성 등 3건(6억 5700만 원)의 사업을 확보했다.
이 과정에서 비지정 가야유적의 학술적 가치가 새롭게 밝혀지고, 국가유산 승격과 함께 정비·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한 성과를 거뒀다.
내년에는 전국 8개 시도 32건의 사업 중 창녕 우천리고분군 등 전국에서 가장 많은 8건을 확보해 9억 7천만 원의 국비를 확보했다.
경남도 박일동 문화체육국장은 "역사문화권 내 중요 유적 발굴 조사와 정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도내에는 지정 유적보다 아직 조사나 연구 기회조차 받지 못한 비지정 유적이 대부분이다. 그동안 비지정 유적에 대한 역사적 가치를 규명한 결과 고성 만림산 토성이 소가야 중심 세력이 축조한 토성의 실체로 밝혀지는 등 의미 있는 성과도 많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