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올해 기상 여건 양호…쌀, 작황 좋아 단위 생산량 증가할 듯"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쌀 단위 생산량 평년 대비 증가 전망
작황 양호에도 재배 면적 줄어 쌀 생산량은 감소할 수도
다음 달 초·중순부터 햅쌀 수확 가능…쌀 가격 안정 기대

연합뉴스연합뉴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올해 쌀 단위 생산량이 지난해나 평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28일 전망했다. 올해 기상 여건이 양호해 쌀 작황이 지난해보다 좋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올해 쌀 단위 생산량은 10a(아르: 100㎡)당 524~531㎏으로 지난해보다 2.0~3.2% 증가하고 평년과 비교하면 1.2~2.5%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수확기까지 기상 여건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올해 작황이 양호하지만, 벼 재배 면적이 줄면서 쌀 생산량은 335만~360만t(톤)으로 지난해(359만t)나 평년(368만t)보다 적을 수 있다. 올해 벼 재배 면적은 67만 8천㏊(헥타르·1㏊는 1만㎡)로 지난해보다 2만㏊(2.9%) 줄었다. 전략 작물 직불제와 논 다른 작물 재배 지원 사업 등 벼 재배면적 조정제로 벼 재배 면적은 4년 연속 줄었다.

농촌경제연구원이 이달 중순 표본 농가를 조사한 결과 올해 조생종과 중만생종 벼 생육은 지난해보다 좋았다. 지난 6~8월 생육기 평균 기온이 높았고, 일조 시간이 많았기 때문이다. 다만 이달 들어 잦은 비로 깨씨무늬병, 잎집무늬마름병(문고병), 도열병이 증가하고 있어 모니터링과 방제가 필요한 상황이다.

산지 쌀 가격은 지난 15일 기준 20㎏당 5만 6333원으로 지난해보다 28.8% 높다. 산지 쌀 가격은 보통 수확기(10~12월) 이전에 재고가 줄어드는 단경기(7~9월)에 오르는 경향이 있다. 산지 유통업체의 재고량이 지난 10일 기준 6만 8천t으로 지난해 대비 19만t이 줄고, 평년보다 12만t 감소한 영향으로 가격 상승세는 지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매 가격도 연일 급등해 작년보다 30% 가까이 올라 지난 26일 기준 20㎏당 평균 6만 6천 원을 넘었다. 다만 이달 들어 정부가 양곡 5만 5천t을 추가 공급해 산지 쌀값 오름세는 둔화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햅쌀 생산량의 90%인 중만생종이 다음 달 초·중순부터 본격적으로 수확되면 쌀 가격이 안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