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전 경기 수원시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열린 경기도버스노조협의회와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의 최종 조정회의에서 임금협상을 타결한 노사 양측이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경기도 버스 노조가 1일 사측과 최종 조정회의에서 합의하면서 예고했던 파업을 철회했다. 이에 따라 우려됐던 출근길 대란은 없었다.
경기도버스노조협의회(노조)는 이날 오전 6시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조합)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진행된 최종 조정회의에서 노사합의로 조정을 취하했다"고 밝혔다.
앞서 노조는 전날 오후 4시부터 사용자 단체인 조합과 최종 조정회의를 진행했다.
노조는 민영제 노선에서 고착화된 임금 차별과 불평등한 근무형태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공공관리제와 마찬가지로 1일 2교대제로 운영하고 동일 임금을 보장해달라고 요구했다.
또 공공관리제 노선은 통상임금 대법원 판결을 적용한 올해 서울 버스노조의 임금인상 요구율(8.2%)에 준하는 임금 인상률을 제시한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사측은 경영난 등을 이유로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30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열린 경기도버스노조협의회와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의 최종 조정 회의에서 이순창 경기도중부지역버스노조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노사는 14시간에 걸친 조정회의 끝에 준공영제와 같은 임금과 근무형태를 적용(2027년 1월 1일부터)하는 데 합의했다. 또 올해 임금을 민영제 40만원, 준공영제는 8.5% 인상하기로 했다.
노조 관계자는 "노사 합의에 따라 조정을 취하했다"며 "민영제 차별 철폐를 위해 준공영제 임금과 근무형태를 동일하게 적용하는 큰 진전을 이뤘다"고 말했다.
양측이 합의하면서 이날 우려됐던 출근길 대란도 없었다.
노조에는 경기도 전체 버스 노동자의 90%가량이 속해 있다. 50개 업체 소속 1만여 대로 공공관리제 2300여대, 민영제 7100여대, 시외버스 800여대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