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피해 국가 전산망 도대체 몇개? 정부 뒤늦게 709개로 정정 논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미처 인지하지 못했던 시스템이 새롭게 생긴 것은 아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상황센터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0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상황센터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0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본원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정부 전산시스템 수를 화재 발생 14일째 기존 647개에서 709개로 바로잡았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9일 국정자원의 통합운영관리시스템 '엔탑스(nTOPS)'를 복구한 결과, 기존 집계보다 62개가 많은 709개 시스템이 이번 화재로 가동 중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가 화재 발생 2주가 되도록 피해 현황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온더.

중대본 관계자는 "엔탑스 복구 전에는 시스템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관제시스템에 등록된 웹사이트 기준으로 647개 시스템을 장애시스템으로 관리해 왔다"며 "엔탑스와 관제시스템 간 기준이 달라 숫자가 변경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처 인지하지 못하던 시스템이 이번에 새롭게 생긴 것은 아니다"라며 "기존에도 필요에 따라 두가지 기준을 모두 활용해왔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사고 현황 파악과 대처에 필요한 핵심 수치가 잇따라 바뀌었다는 점에서 정부의 관리 부실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복구 작업도 더딘 상황이다.  정부는 현재까지 중단된 709개 시스템 중 193개(복구율 27.2%) 시스템을 복구했다.

온나라문서시스템과 1365기부포털 등 주요 서비스가 재가동됐으나, 국민권익위원회의 '국민신문고', 법제처의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정안전부의 '안전디딤돌' 등 일부 핵심 서비스는 여전히 복구되지 않았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