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5일 부산 기장군 고리 원전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제공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이 15일 부산 기장군 소재 고리 원전을 찾아 안전 운영을 위한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고 밝혔다.
고리 원전은 국내 최초 상업 원전으로 안정적 전력 공급과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해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1983년부터 2023년까지 가동한 뒤 현재는 '계속운전' 승인 절차가 진행 중이다.
계속운전은 운전허가기간 만료 원전에 대해 설비 수명·상태·개선계획 등 안전성을 평가해 운전허가기간 이후에도 계속운전하는 제도다. 전 세계 허가만료원전 91%(258기)가 계속운전을 시행 중이란 게 기후부 설명이다.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 허가 여부를 차기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심의할 예정이다.
이번 방문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안전성을 전제로 원전을 합리적으로 섞어 사용하는 에너지 구성(믹스) 정책을 강조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기후부는 전했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이 15일 부산 기장군 소재 고리 원전 현장을 점검한 모습. 기후에너지환경부 제공
앞서 전날 국회 기후환경노동위원회의 기후부 국정감사에서는 새 정부의 원전 정책 방침이 주된 쟁점이 됐다. 윤석열 정부에서 확정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상 신규 대형원전 2기 건설을 추진할 것인지와, 노후 원전의 계속운전 여부 등을 두고 여야 의원들의 질의가 오갔다.
김 장관은 일단 신규 원전 건설 여부는 내년 2월 확정할 제12차 전기본 수립 과정에서 확정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노후원선 계속운전에 대해서는 "안전성을 담보로 해서 설계 수명 연장을 검토하고 있다"고 답한 바 있다.
김 장관은 이날 현장 방문에서도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고리 2호기 계속운전 대응상황을 듣고 현장을 둘러본 뒤, "안전이 전제되지 않은 원전은 없다"며 "향후 원전정책 추진과정에서 원전의 안전성과 수용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안전한 원전을 병행한 균형 잡힌 에너지 구성(믹스)으로 우리나라의 전력수급 안정과 온실가스 감축, 산업경쟁력 확보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