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사 노조연대는 4일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철강산업 연쇄 붕괴 위기를 호소하며 대책을 촉구했다. 포스코그룹사 노조연대 제공미국 정부의 철강관세 50% 부과와 탄소규제 강화,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국내 철강산업이 위기를 맞자 철강기업 노조와 지자체 등이 위기 극복을 위해 발벗고 나섰다. 
포스코그룹사 노조연대는 4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철강산업 연쇄 붕괴 위기를 호소했다. 
			
		
노조연대는 "세계 각국은 철강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지정하고 대규모 지원을 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규제만 강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수소환원제철 등 친환경 신기술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지만, 막대한 투자비와 규제 방벽 때문에 속도를 내기 어렵다"면서 "지금 필요한 것은 규제가 아니라 산업 생리를 반영한 합리적 속도 조절과 실질적 지원이다"고 강조했다. 
노조 연대는 미국의 50% 관세 부과 이전 이미 글로벌 공급과잉, 내수 침체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철강 관련 영세 업체들은 이미 고사가 시작됐으며, 지역 경제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고 밝혔다. 
			
		
포스코그룹사노조연대 김성호 의장은 "영세업체들은 이미 폐업이 시작됐고 가동률도 20~30%에 그치고 있다. K스틸법의 조속한 시행이 필요필며 골든타임을 놓치면 안된다"고 호소했다. 
포스코그룹사 노조연대는 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철강산업 연쇄 붕괴 위기를 호소했다. 포스코그룹사 노조연대 제공 이와 함께 금속노련 장재성 상임부위원장은 "현재 철강산업의 어려움이 현장의 노동자들이 직접 체감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며 "더 이상 지체할 수 없음에 K-스틸법을 조속한 제정과 정부의 실질적인 정책지원 병행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포스코그룹사 노조연대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철강산업 연쇄 붕괴 위기를 막기 위한 대책을 마련을 촉구했다. 
이와 함께 포항과 광양, 당진 등 국내 3대 철강도시도 지난 3일 긴급회의를 갖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들 도시는 이번 대미 관세협상에서 제외된 철강품목의 관세외교 협상 요청과 '고용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K-steel법' 조속 제정, '철강산업 고도화 종합대책' 대책 마련,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4차 배출권 허용총량 완화 등을 건의하고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포항·광양·당진시는 지난 3일 지역경제의 존립 자체를 위협받는 심각한 위기감 속에 '철강산업도시 단체장 긴급 영상회의'를 열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