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잠자던 국유재산이 희망 일터로'…전북형 자활사업 '전국 모델'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미사용 국가 소유 건물 리모델링…자활기업과 자활사업단의 공간 활용
도내 전주와 군산, 임실 등 3개소 운영 중…익산과 남원 2곳 추가 개소

자활 근로자들의 자립 공간으로 운영 중인 '알파 임실점(늘해랑)'. 전북도 제공자활 근로자들의 자립 공간으로 운영 중인 '알파 임실점(늘해랑)'. 전북도 제공
사용되지 않는 국가 소유의 건물을 리모델링해 자활기업과 자활사업단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전북자치도의 사업이 전국 자활 정책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북도는 전북 지역 자활사업장인 전주와 군산, 임실 3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익산과 남원 2곳이 개소를 앞두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전북자치도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전북광역자활센터 등과 협력해 추진하는 민·관·공 협력 모델이다.
 
캠코가 유휴 국유재산을 제공하고 초기 정착 운영비를 지원하면, 전북도는 재정·행정 지원을, 자활기관은 현장 운영과 자활근로자 육성을 맡는 방식이다.
 
현재 운영 중인 곳은 전주 금암1파출소를 리모델링한 '청년자립도전사업단', 군산 흥남치안센터를 활용한 '카페보네 군산점', 임실 옛 선관위 건물을 개조한 '알파 임실점(늘해랑)' 등 3곳이다.
 
익산 영등치안센터(다온팜스사업단)와 남원 동충치안센터(청년자립도전사업단) 2곳도 올해 안으로 문을 열 예정이다.
 
전북자치도는 2026년까지 자활사업장 2~3개소를 추가 확대하고, 도내 전역으로 유휴 국유재산 자활모델을 확산시킬 계획이다.
 
전북도 양수미 사회복지정책과장은 "단순히 건물을 재활용하는 수준을 넘어, 취약계층의 자립을 돕고 지역공동체를 회복하는 상징적인 전환"이라고 밝혔습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