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성인 3명 중 1명 비만…10년 새 30%↑, 남성·중년층 높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전체 성인 34.4% 비만…남성 41% 여성 23%
절반 이상 '비만' 인식…비만 아닌 여성 28%도 '나는 비만'
전남·제주 가장 높고 세종 가장 낮아…10년 간 전국 모두 상승

연합뉴스연합뉴스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비만율이 약 30% 증가하며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생활습관 개선과 지역 맞춤형 관리 강화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 비만율을 분석한 결과, 전체 성인 중 34.4%가 비만으로 조사됐다고 10일 밝혔다. 10년 전인 2014년 26.3%에서 약 30.8% 증가한 수치다.

비만은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인 경우로 정의된다.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 성인 약 23만 명을 대상으로 2024년 5월부터 7월까지 실시됐다.

비만율 추이(시‧군‧구 중앙값) 및 지역 간 건강격차(2015-2024년). 질병관리청 제공비만율 추이(시군구 중앙값) 및 지역 간 건강격차(2015-2024년). 질병관리청 제공
성별로는 남성(41.4%)이 여성(23.0%)보다 약 1.8배 높았다. 특히 남성은 30대(53.1%)와 40대(50.3%)에서, 여성은 60대(26.6%)와 70대(27.9%)에서 비만율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 성인의 절반 이상(54.9%)이 스스로 비만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여성은 실제보다 더 비만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비만인 사람 중 자신이 비만하다고 인식한 비율은 남성 77.8%, 여성 89.8%로 대부분이 스스로 비만임을 자각하고 있었다.

반면 비만이 아닌 사람 중에서도 남성 13.0%, 여성 28.2%가 자신이 비만하다고 생각해, 여성의 경우 실제 체형보다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윤영숙 교수는 "여성들이 날씬한 몸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사회문화적인 요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시도별 비만율을 지역별 보면 전남·제주(36.8%)가 가장 높았고, 세종(29.1%)이 가장 낮았다. 2015년 이후 10년 동안 전국 17개 시도의 비만율이 모두 상승했으며, 전남은 11.4%포인트 증가해 가장 큰 폭의 상승을 보였다. 반면 세종은 2.9%포인트 오르는 데 그쳐 상승세가 가장 완만했다.

시군구 단위로 보면 충북 단양군(44.6%)과 강원 철원군(41.9%)이 가장 높았고, 경기 과천시(22.1%)와 대전 서구(23.1%)가 가장 낮았다. 같은 시도 내에서도 지역 간 비만율 격차가 컸으며, 경기도는 1.76배로 지역 간 격차가 가장 컸다.

질병관리청 제공질병관리청 제공
국제적으로도 비만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비만·과체중 인구 비율(36.5%)은 OECD 평균(56.4%)보다 낮지만, 서구화된 식단과 운동 부족 등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비만은 단순히 체중 증가를 넘어 심혈관질환, 제2형 당뇨병, 근골격계 질환뿐 아니라 대장암, 간암, 유방암 등 여러 암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문가들은 꾸준한 체중 감량과 생활습관 개선이 비만으로 인한 질병 위험을 줄이는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체중의 5~10%만 줄여도 혈당과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고, 염증 반응과 호르몬 불균형이 완화된다는 것이다.

질병청은 최근 비만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비만 환자가 약물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식이조절과 운동을 병행하지 않고 체중을 감량할 경우 영양결핍, 근육량 감소, 골밀도 감소 및 대사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질병청 관계자는 "비만치료제 투약을 중단했을 때 체중이 빠르게 원상복귀되고, 체중 감량 이전보다 대사 상태가 더 악화될 수 있다"며 "치만치료제를 사용하더라도 균형 잡힌 저열량식사와 꾸준한 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 및 운동을 병행해 건강한 생활을 습관화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질병관리청 제공질병관리청 제공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