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광주광역시의회 제공광주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 지연과 설계 변경, 상가 피해 등의 문제로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도 도마에 올랐다.
광주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가 11일 진행한 광주시 도시철도건설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도시철도 2호선의 공기 지연과 설계 오류, 상권 피해 대책이 집중 추궁을 받았다.
박수기 의원은 "7공구와 9공구의 반복 유찰로 전체 목표가 2030년으로 늦춰졌고, 착공 지연이 2년에 달해 개통 지연이 더 확대될 수 있다"며 "실시설계 단계에서 공법과 지장물, 지질 등을 충분히 파악하지 못한 행정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박필순 의원은 "시민들이 공정 진행 상황을 예측할 수 있도록 공사 단계별 현황과 도로 개방 계획을 상시 공개하고, 시운전과 성능평가를 모두 감안한 현실적인 개통 목표를 제시하라"고 주문했다.
심철의 의원은 "공사 지연으로 상인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며 "피해자에게 부담이 전가되는 구조를 개선하고 소비쿠폰과 상생카드 같은 실질적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오영걸 도시철도건설본부장은 "7공구와 9공구는 보완설계를 진행 중이며, 총사업비 사전 협의도 마친 상태"라며 "저심도 개착에서 터널 방식으로 변경하면 일정 단축 효과가 기대된다"고 답했다.
한편 광주도시철도 2호선은 지난 2019년 착공해 오는 2030년 완전 개통을 목표로 하며, 현재 1단계는 95%, 2단계는 6%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