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공동취재단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8일 "한국과 미국의 통상 합의가 불확실성을 상당히 줄였다"면서 대미 관세는 올해 하반기부터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총재는 이날 방송된 BBC 인터뷰에서 대미 관세 영향과 관련해 "올해 상반기에는 수출 호조 덕분에 데이터가 나쁘지 않았다. 하반기에 더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관세 합의와 관련해 "미국의 기초 과학 역량과 한국의 제조 및 응용 기술 역량을 결합하는 합작 투자를 발전시킬 수 있다면 정말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무역 긴장이 있기 전부터 우리는 이미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목격했고, 아시아의 공장인 중국 이외 지역으로 시장 다변화를 시작했다"면서 "이는 무역 긴장 때문이 아니라 특정 산업에서 중국의 경쟁력이 매우 확대돼 조정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신기술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강조하면서 "한국은 특히 인공지능(AI)과 같은 신기술 분야에서 좋은 위치에 있으며, 한국의 AI 산업은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에서도 강하다"고 평가했다.
AI 거품론과 관련해선 "설령 거품이 있다해도 이 치열한 AI 경쟁에서 누가 승자가 되든 AI 붐은 계속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총재는 "AI는 고사양의 대규모 서버뿐 아니라 소형 기기, 피지컬 AI 등에도 사용되면서 막대한 반도체 수요를 일으킬 것"이라면서 "한국은 다른 나라들보다 조금 더 안전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