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수백만 명 복지 기준 되는 '중위소득'…산정방식 바뀐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현재 산정방식, 2026년 기준 중위소득 결정까지 운영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정부가 기초생활보장과 복지사업의 기준인 '기준 중위소득' 개편 작업에 착수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1일 '제1차 기준 중위소득 산정방식 TF' 회의를 열고 새 산정방식 마련을 위한 논의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기준 중위소득은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으로, 생계급여부터 의료·주거·교육급여, 국민취업지원제도, 국가장학금 등 14개 중앙부처 80여개 복지사업의 선정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제공보건복지부 제공

올해 기준 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6.51% 상승하며 4인 가구 기준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현재 적용 중인 산정방식은 2026년 기준 중위소득 결정 시점까지 한시 운영되도록 돼 있어 2027년 적용을 위한 새로운 방식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복지부는 보건사회연구원과 함께 연구용역을 추진해 그간의 산정 결과와 해외 사례를 검토하고, 재정·통계당국 및 사회복지·재정·통계 전문가로 구성된 TF를 운영해 안정적인 산출방식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첫 회의에서는 개편 필요성과 주요 쟁점, 향후 연구 추진 방향 등이 논의됐다. 복지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연구와 TF 논의를 거쳐 새 산정방식안을 마련한 뒤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에 부칠 예정이다.

진영주 사회복지정책실장은 "현행 산정방식이 2025년 7월을 끝으로 만료된 만큼, 앞으로 기초생활보장제도 내실화를 위해 급여보장성과 지속가능성을 함께 담보할 수 있는 산정방식을 검토해나가겠다"고 밝혔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