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기획위원회 조승래 대변인. 연합뉴스미국 트럼프 행정부발(發) 관세 조치가 산업계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국정기획위원회가 "정부와 경제계가 원팀이 돼 당면한 통상 파고를 극복하는 것이 경제안보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국정기획위는 9일 오후 반도체·배터리·자동차·조선·방산·철강·석유화학·에너지 기업들과 간담회를 열어 최근 대미 관세협상, 수출통제, 해외 현지 규제, 과잉공급 업종 업황 부진 등 주요 수출 산업을 둘러싼 통상위기와 경제안보 관련 토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기아,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HD현대중공업, 두산에너빌리티, 롯데지주 등 주요 9개 기업 임원들이 참석했다.
국정기획위 경제2분과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은 "국익을 최우선으로 한 실용적 통상정책과 산업의 근원적 경쟁력을 높이는 산업정책을 통해 위기 극복에 총력을 다하겠다"며 "정부와 경제계가 '원팀'이 돼 당면한 통상 파고를 극복하는 것이 경제안보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업들도 힘을 모아 대응하면서 중장기적인 경쟁력 강화와 체질 개선에 적극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인사들은 △대미 관세 협상 불확실성 해소 및 소통 강화 △수출 통제 애로 해소 △국내 생산기반·인프라 확충을 위한 세제·금융 지원 △방산·조선 등 신성장동력 육성 지원 △재생에너지 확산 인센티브 및 국내 산업기반 강화 △공급과잉업종 사업 재편 및 저탄소 전환 지원 등의 정책과제를 제안했다고 국정기획위는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