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현지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미술관 앞 '인질 광장'에 휴전 합의를 환영하며 인질 석방을 기대하는 시민들이 운집해 있다. 연합뉴스하마스에 억류된 이스라엘 생존 인질 20명이 13일(현지시각) 아침부터 한꺼번에 석방될 예정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정부 대변인은 12일 "인질 석방이 월요일(13일) 아침 일찍 시작될 것"이라며 "생존 인질 20명이 함께 석방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생존 인질들이 석방된 후 사망한 인질 28명의 유해가 인도될 예정"이라며 "생존 인질이 이스라엘 영토에 도착하는 즉시 (이스라엘 내) 팔레스타인인 수감자들도 석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인질 석방은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가자 평화 구상' 1단계 합의에 따른 것이다. 이스라엘 내각은 지난 10일 모든 인질 석방을 위한 1단계 휴전 합의안을 승인했으며, 이에 따라 같은 날 정오부터 휴전이 발효됐다.
11일(현지시간)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휴전이 발표된 후 이스라엘 텔아비브의 '인질 광장'에 사람들이 모여 환호하고 있다. 연합뉴스합의에 따라 이스라엘군은 가자지구 내 '합의된 전선'까지 병력을 일부 철수하기 시작했고, 하마스는 휴전 발효 후 72시간 내인 13일 정오까지 인질을 석방해야 한다.
하마스가 이스라엘 생존 인질 20명과 사망 인질 28명의 시신 등 총 48명을 송환하면,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수감자 약 2천명을 석방할 예정이다. 석방 대상에는 살인 등 테러 혐의로 종신형을 선고받은 수감자 250명과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기습 공격 이후 구금된 가자지구 주민 1700명이 포함된다.
이스라엘 법무부는 이미 석방 예정 수감자 250명의 명단을 공개한 바 있다.
1단계가 마무리되면 2단계에서는 하마스의 무장 해제와 함께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팔레스타인 기술관료들이 주도하는 민간 정부가 수립될 예정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인질 석방이 이뤄지는 13일 오전 이스라엘 의회(크네세트)에서 연설한 뒤, 가자 전쟁 종식을 위한 '가자 평화 정상회의'가 열리는 이집트 샤름 엘셰이크로 이동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