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핵시설 안전에 대한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대전시와 관련 기관이 '재탕·삼탕' 대책으로 빈축을 사고 있다.
(관련기사 CBS 노컷뉴스 13. 10. 21 대전 핵연료 공장 증설, 주민 간 갈등으로)사고가 터질 때마다 같은 대책에, 그마저도 말잔치로만 끝나면서 반복되는 논란과 주민 불안, 소모적인 논쟁 등 문제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 대놓고 '재탕 대책'…논의는 제자리걸음"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을 확대하고 주민과 전문가의 대화 기회를 늘리겠다."
대전 유성구 핵연료 공장 증설 문제가 불거진 뒤 윤종준 대전시 안전총괄과장이 밝힌 '대책'이다.
하지만 정작 이 같은 내용을 들은 주민과 시민단체는 고개를 갸웃거린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대책이라는 것.
그도 그럴 것이,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확대는 지난 2006년 연구원 주변 방사성 요오드 검출, 2011년 하나로 원자로 백색비상 발령 등 원자력 관련 사고가 터질 때마다 나온 말이기 때문.
그때마다 '변화' 없이 이내 수그러들곤 했다.
주민과 전문가 간 대화는 이미 대전시와 원자력 관련 기관들이 각종 '협의회' 이름을 붙여 여러 차례 시도한 대표적인 '재탕 대책'이다.
원자로 추가 건설 논란이 일었던 지난 2005년 대전시는 지자체와 전문가, 주민 등으로 구성된 '원자력안전시민협의회'를 구성했지만 파행을 거듭하며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대전시는 2007년 IAEA 사찰용 우라늄 시료 분실로 비판 여론이 일자 이듬해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다시 협의회를 출범, 현재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