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EV4 전면 디자인. 정석호 기자500km 넘는 주행거리에 가격은 3천만원대, 거기에 넓은 공간까지. 가성비 '끝판왕' 전기차가 등장했다. 기안의 첫 전기 세단인 EV4다.
23일 오전 EV4를 시승해보니 가성비가 몸으로 느껴졌다. 경기 하남에서 경기 광주까지 총 66km를 '어스 롱레인지' 트림으로 주행한 결과, 여유 있는 전비와 넉넉한 주행 거리로 충전 걱정이 전혀 들지 않았다.
EV4의 복합전비는 2WD 17인치 휠 기준 5.8km/kWh로 기아의 EV 라인업 중 가장 우수하다. 롱레인지 17인치휠 기준으로 1회 충전에 533km 거리를 주행할 수 있다. 이는 현대차그룹 모든 전기차 중 가장 긴 주행거리다.
EV4 1열 탑승 모습. 정석호 기자우수한 전비는 주행 과정에서도 체감됐다. 기존 전기차와 달리 낮은 차체와 유선형의 전면 디자인으로, 가속 시에도 공기의 저항력이 많이 느껴지지 않았다. 실제로 EV4는 낮게 떨어지는 후드 앞단 디자인 등으로 기아 차량 중 가장 우수한 공기저항계수 0.23을 자랑한다.
정숙성도 큰 특징이다. 가속 과정에서 전기차 특유의 모터 가동 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았다. 소음 차단 또한 우수했다. 고속도로에서 고속 주행을 하더라도 외부의 풍절음이 거의 차단됐다. 앞유리에 적용된 윈드실드와 운전석과 보조석에 탑재된 이중접합 글라스가 톡톡히 제 역할을 했다.
가속 페달만으로 감속과 정차가 가능하도록 한 i-페달 3.0 기능도 실용성이 높았다. EV4에는 i-페달 기능을 모든 회생 제동 단계에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적용됐다. 처음에는 엑셀에서 발을 뗄 때 느껴지는 감속이 어색했지만, 점차 익숙해지니 브레이크를 따로 밟지 않아도 돼 피로감이 덜했다. 스마트 회생제동 기능으로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면 차량이 스스로 앞 차와의 적절한 거리에서 정차하기도 했다.
휴게소에서 차량을 잠시 세운 뒤 2열과 트렁크 등 내부 공간을 확인해 봤다.
EV4 2열 공간. 정석호 기자전체적으로 전기차 특유의 넓은 공간감이 느껴졌다. 2열의 경우 '세단'이지만 상당히 넉넉한 무릎 공간을 확보했다. 평균보다 작은 기자가 2열에 직접 타보니 때 주먹 2~3개가 넉넉히 들어가는 크기였다. 다만 차체 디자인 자체가 뒤로 낮아지는 구조다 보니, 장신에게는 헤드룸이 넉넉하지 않을 수 있어 보였다.
제원상으로도 내부 공간이 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V4의 실내는 전장 4730mm, 축간거리 2820mm, 전폭 1860mm, 전고 1480mm로 동급 차량과 비교할 때 넓은 축에 속한다. 현대차 준중형인 '더 뉴 아반떼'의 경우 전장 4710mm, 축간거리 2720mm, 전폭 1825mm, 전고 1420mm다. 전장에서 큰 차이는 없지만 축간거리가 100mm나 넓다.
동급 최대 크기의 트렁크. 정석호 기자트렁크 공간도 상당했다. 성인 남성 한 명이 누워도 남을 크기였다. 스펙상으로도 동급 최대 수준의 490L에 달한다. 다만 해치백 스타일임에도 불구하고 트렁크 입구는 일반 세단의 크기와 비슷해 아쉽게 느껴졌다.
EV4 가격은 세제 혜택 적용 전 기준으로 스탠더드 모델은 △에어 4192만원 △어스 4669만원 △GT라인 4783만원이다. 롱레인지 모델은 △에어 4629만원 △어스 5104만원 △GT라인 5219만원이다. 전기차 세제 혜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서울 기준)을 적용하면 실제 구매 가격은 스탠더드 모델 3400만원대, 롱레인지 모델 3800만원대다.
EV4 외장 색상은 △모닝 헤이즈 △마그마 레드 △요트 블루(무광) △스노우 화이트 펄 △아이보리 실버(유광/무광) △ 셰일 그레이 △오로라 블랙 펄 등 8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