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교육부가 의대 학생회 대표 조직인 '대한의대·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에 의대생 유급 처분이 확정되는 오는 30일 이전에 만날 것을 촉구하며, 학사유연화는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의대국장)은 28일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교육부의 간담회 제안에 의대협은 '내부 논의 중이며 오늘 중으로 답변을 주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간담회 시점과 관련해 "오늘이나 내일 유급 확정 전에 만나는 게 문제 해결에 가장 좋은 타이밍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의대협이 5월 초를 제안한다면 그것은 어렵다. 간담회 시점이 유급 처분 직후가 되면 학생들에게 오해 소지를 줄 수 있기 때문"이라며 "30일 이후라면 구체적 시기는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의대협에 전했다"고 덧붙였다.
김 국장은 간담회가 성사될 경우 '학사 유연화 외'에는 논의 테이블에 가져갈 '카드'가 없지 않으냐는 질문에 "4월 30일 유급 이전에 학생들이 모두 수업에 복귀한다면 수업 결손 보완책이나 24·25학번 분리교육 등 논의할 사안이 많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학사유연화 조치가 논의 테이블에 올라갈 가능성은 '0%'라고 지적했다.
김 국장은 일부 의대에서 진행 중인 '수업 복귀 의향'을 묻는 설문조사와 관련해서는 "강경파 의대협의 일괄적인 입장 때문에 대다수 학생들 의사가 표출되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된다"며 "다수 학생의 의견을 직접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 긴급하게 설문조사를 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의대협이 '설문조사에 답할 때 전원 복귀에 동의하라'는 내용의 문자를 공지했다는 제보를 받았다"며 "그러나 의대협의 의도대로 '100% 동의' 결과가 나오지 않은 대학이 몇몇 있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각 의대는 이날 자정까지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수업 복귀 의향을 파악하는 설문조사를 벌이고 있다. 설문 조사는 오는 30일까지 수업에 복귀할 의사가 있는지에 관한 질문에 '예' 또는 '아니오' 중 하나를 택하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김 국장은 "현재로서는 의대생 수업 참여율이 크게 오르지 않고 있다. 답보 상태인 게 맞다"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