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와 만나 양국간 6천억달러(약 850조원) 규모의 투자·수출·안보 협력 강화 등을 담은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을 체결했다.
백악관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 순방 첫날 빈 살만 왕세자와 회담한 뒤 에너지, 국방, 자원 등에서의 협력을 담은 협정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사우디 방문은 재집권 뒤 첫 해외 공식 순방 일정으로, 앞서 첫 임기 때도 사우디를 첫 해외 방문국으로 택한 바 있다.
이번 협정에는 먼저 미국 12개 방산기업이 사우디와 1,420억달러에 달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방위 장비 판매 계약이 들어갔다.
이 계약에는 공군 발전 및 우주 능력, 대공 및 미사일 방어, 지상군 현대화 등과 관련된 장비 등이 포함됐으며, 미국은 사우디 군대의 역량 강화를 위한 훈련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민간 분야에서는 사우디 기업 데이터볼트가 미국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와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달러 투자를 추진한다.
백악관은 "데이터볼트는 이뿐만 아니라 미국 기업 구글, 오라클, 우버 등과 함께 양국 최첨단 기술에 8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힐인터내셔널, 제이콥스, 파슨스, AECOM 등 미국 기업들이 사우디 살만 국왕 국제공항 등의 인프라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여기다 142억달러 규모의 GE버노바 가스 터빈과 에너지 솔루션 수출과 48억달러 규모의 보잉 737-8 여객기 수출도 이뤄질 계획이다.
미국이 사우디와의 안보 협력을 강화하는 대신, 그 대가로 대규모 수출과 함께 사우디로부터 대형 투자 유치를 받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무함마드 왕세자와의 양자회담에 앞서 "미국이 대규모 투자와 일자리를 확보했다"면서 "우리는 사우디에 계속해서 잘 봉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 방문에 이어 오는 16일까지 나흘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를 잇달아 찾을 예정이다.
다만 우크라이나의 제안대로 오는 15일 이스탄불 평화협상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직접 올 경우 트럼프 대통령도 튀르키예로 향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