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연합뉴스러시아가 오는 15일(현지시간)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열릴 예정인 우크라이나와의 회담에 대표단을 파견한다고 발표했지만,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직접 참석 여부는 여전히 공개되지 않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회담에 대한 논의는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15일 이스탄불에서 휴전 협상을 열자"고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이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푸틴과의 정상회담 형식으로 응수했고,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까지 회담 참여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판이 커졌다.
주요 외신들은 이번 회담이 전쟁의 향방을 가를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정작 푸틴 대통령은 아직까지 참석 여부를 밝히지 않고 있어 회담의 성사 여부 자체가 불투명하다고 내다봤다.
젤렌스키 대면 압박, 푸틴은 침묵 …트럼프 참석 가능성에 판 커진 이스탄불 회담
볼라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연합뉴스리아노보스티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13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우리 대표단은 거기(이스탄불)에 있을 것이고 우크라이나 측을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러시아는 계속 협상을 준비하고 있다"며 "그 이상은 언급하지 않을 것"이라며 구체적인 설명을 피했다. 러시아 대표단 구성원이나 회담 시간에 대해서도 페스코프 대변인은 "말할 수 없다"며 "푸틴 대통령의 지시가 내려지면 그때 발표할 것"이라고만 언급했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지난 11일 "15일 이스탄불에서 우크라이나와 휴전 협상을 열자"고 제안했고,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직접 만나겠다"며 정상회담 제안으로 응수한 상태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푸틴이 직접 나오지 않으면 러시아 대표단과는 만나지 않겠다"며 "전쟁을 끝낼 수 있는 사람은 푸틴뿐"이라며 거듭 직접 대면을 요구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전직 크렘린궁 관계자를 인용해 "러시아 대표단에는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과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 외교정책 보좌관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동 순방을 진행 중인 가운데, 미국-러시아-우크라이나 3개국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튀르키예에 (푸틴과 젤렌스키) 두 지도자가 참석할 것으로 믿는다"며 "(나도) 거기에 가는 걸 실제로 고려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이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연 기자회견에서는 "튀르키예에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간다"고 했다.
푸틴 대통령의 참석 여부가 확정돼야 본인도 동참하겠다는 의중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로이터통신은 "스티브 위트코프 백악관 중동 담당 특사와 키스 켈로그 우크라이나 담당 특사가 이스탄불 회담을 위해 현지로 향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켈로그 특사는 출국에 앞서 "푸틴이 참석한다면 트럼프도 참석할 것"이라며 "정말 멋진 만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움직임도 변수로 부상"…국제사회 압박 가속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 연합뉴스그러나 회담의 성패를 가를 푸틴 대통령의 참석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친크렘린 성향의 러시아 정치학자 세르게이 마르코프는 이날 WP에 "푸틴과 젤렌스키의 직접 대화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푸틴이 이스탄불에서 회담을 할지 여부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달려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젤렌스키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질 준비가 되어 있는지 여부도 중요하다"고 했다.
WP는 푸틴 대통령이 참석 여부 결정을 미루는 배경에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순방 일정 변경 여부를 살피고 있다는 해석도 내놨다.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참여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어 "푸틴 대통령은 지금 기로에 서 있다"며 "트럼프가 던져준 외교적 기회를 잡아 전쟁에서 벗어나고 손실을 복구할지, 아니면 여름 군사 작전에 나서 우크라이나군에 전술적 타격을 가할지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회담을 앞두고 유럽은 '30일 무조건 휴전'부터 이행하라며 러시아에 대한 압박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영국·프랑스·독일·폴란드 등은 지난 10일 젤렌스키 대통령과 공동으로 휴전을 촉구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이날 한 방송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이를 거부할 경우, 미국과 협력해 금융 서비스와 에너지 분야에 대한 제재를 며칠 내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의 목표는 30일간 모든 전투를 중단하고, 우크라이나의 안전 보장 방안을 논의할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라며 "우크라이나가 나토(NATO)에 가입하지 않을 것이므로 안전보장군을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도 "푸틴이 휴전에 동의하지 않으면, 유럽 동맹국들이 러시아에 대한 중대한 제재 강화를 시행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