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민 기자의정 갈등으로 1년 6개월 동안 전공의 이탈 사태를 빚었던 충북대학교병원에서 이번에는 병원 노동자들이 파업을 예고하고 나섰다.
의료 정상화의 물꼬를 튼 것도 잠시, 또다시 환자와 가족들의 큰 불편과 혼선이 우려된다.
의료연대본부 충북지부 충북대병원분회는 15일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의정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충북대병원 의료 현장이 붕괴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공의와 전문의가 빠져나간 자리를 간호사와 의료 노동자가 대체하고 있어 더 이상 안정적 의료행위는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이는 국가와 지방 정부가 책임져야 할 공공성의 증거"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파업 결정은 임금 인상을 위한 단순한 쟁의가 아닌 환자의 안전과 위기에 처한 지역의료를 바로 세우기 위한 결단"이라며 "정부, 병원, 충북도는 이를 더 이상 외면해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충북대병원분회 권순남 분회장은 "(병원 측과) 10여 차례에 걸쳐 교섭을 거쳤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며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된 조합원 투표에서 85.5%가 투표했고 찬성률 92%의 과반수로 가결된 이번 파업은 2001년 이후 24년 만에 처음"이라고 말했다.
임성민 기자그렇지 않아도 충북대병원의 의료 정상화는 반쪽짜리에 불과한 실정이다. 하반기 모집을 통해 91명의 전공의가 충원됐지만, 인기과 쏠림 현상만 더욱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전공의 세부 충원율을 보면 피부과·안과·정신건강의학과·재활의학과·마취통증의학과 100%, 정형외과 87.5%로 매우 높았다.
반면 필수 의료 과목은 내과 39.1%, 산부인과 22.2%, 소아청소년과 8.3% 등으로 큰 대조를 보였다.
심지어 7명의 전공의를 모집한 외과는 지원자가 단 한 명도 없었다.
임성민 기자겉으로는 의정 갈등이 봉합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전 상황과 별반 다르지 않을 정도로 필수과 의료진 부족 현상이 되풀이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에는 병원 노동자들이 파업을 결의하고 나서면서 또다시 환자들만 불편을 감수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의료 전문가들은 필수 의료과 전공의 유치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수련병원 필수과 운영은 불가능해질 위험이 크다고 강조한다.
구체적으로 의료 사고와 법적 분쟁 부담 완화를 비롯해 필수 과목 수련 전공의 보조 수당 지급과 수가 인상 등 필수 의료 보상 체계 마련 등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충북대병원 한 전문의는 "필수 의료과 근무 부담을 낮추기 위한 법적·제도적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의료 전담 부서를 신설해 정책 일관성과 실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지방 의료 인프라를 파악해 맞춤형 지원도 병행하는 등 대대적인 패러다임 전환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