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김선경 북한 외무성 부상(차관)은 29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연설에서 "우리는 핵을 절대로 내려놓지 않을 것"이라며 비핵화 불가 입장을 재천명했다.
김 부상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80차 유엔총회 일반토의 연설에서 "우리에게 비핵화를 하라는 것은 곧 주권을 포기하고 생존권을 포기하라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김 부상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미국과 동맹 세력은 핵전쟁 연습 선동을 자행하며 조선반도(한반도) 정세를 극도로 긴장시켰다"며 핵 보유가 한미일에 맞선 자위권이라는 주장도 빼놓지 않았다.
그는 사실상 핵무기가 한반도에서 힘의 균형을 보장하고 있다고도 했다.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과 관련해 김 부상은 직접적인 언급을 하진 않았지만, 북한에 대한 존중과 우호를 전제로 다른 국가와의 대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김 부상은 "우리나를 존중하고 우호적으로 대하는 나라들과의 다방면적인 교류와 협력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공개적으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친분을 과시해왔으며, 특히 지난달 말 한미정상회담에서 "김정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재추진할 의사가 있고, 연내에라도 김 위원장을 만나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21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3차 회의에서 "개인적으로는 현 미국 대통령 트럼프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며 "만약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 데 기초해 우리와의 진정한 평화 공존을 바란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 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정부 고위관계자도 최근 "다음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계기에 북미 정상외교가 재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 26일 뉴욕에서 취재진들과 만난 자리에서 "단정적으로 말하긴 어렵지만, 그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본다"며 "그렇게 되기를 바라면서 지켜보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중 북한에서 고위급 대표가 연설한 것은 2018년 이후 7년 만이다. 북한은 이른바 '하노이 노딜' 이후인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유엔 총회에 별도의 고위급 대표단을 보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