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연합뉴스산업통상부 김정관 장관은 13일 "국익·실용 중심의 통상·무역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부터 열린 2025년 국정감사에서 "우리 수출 구조는 특정국 의존도가 높아 외부 충격에 취약한 상황에서 미국발(發) 자국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 확산, 중국의 핵심광물 독점에 따라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미 양국은 지난 7월 큰 틀에서 관세 협상을 타결했지만 대미 투자 패키지 등과 관련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상호관세율을 15%'로 잠정 합의했지만 후속협상이 타결되지 못하면서 자동차 업계는 여전히 25%의 고율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은 "현재 금융패키지 등 후속 협의에 집중하고 있으며 관세 피해 최소화를 위해 우리 수출기업에 대한 지원책도 마련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중국, 일본 등과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고 신남방 등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로 협력 네트워크를 다변화해 나가겠다"며 "지속적인 수출 확대를 위해 수출 품목과 시장을 다변화하고 무역금융·마케팅 등 지원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위기에 처한 석유화학 산업에 대해서는 "구조 개편 방향과 정부지원 원칙을 정립하고, 현재 업계는 사업재편 계획을 수립 중이며 정부는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