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20대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청년들이 빚 탕감 약속에 속아 캄보디아로 넘어가 범죄에 연루되는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한계 청년'들의 경제난이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17일 5개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연령별 가계대출 현황'을 보면, 올해 6월 말 기준 20대 연령층의 가계대출 잔액은 34조5660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출 규모는 30대 195조4933억원, 40대 221조1409억원, 50대 172조2824억원, 60대 이상 132조1934억원과 비교해 작지만, 20대의 부실 정도가 가장 심각했다.
5개 은행에서 한 달 이상 원리금 연체를 한 20대의 연체율 단순 평균은 0.41%로, 모든 연령층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어 50대(0.37%)·40대(0.35%)·60세 이상(0.32%)·30대(0.23%) 순이었다.
20대의 연체율은 1년 전(0.39%)과 비교하면 0.02%포인트 더 높아졌다.
신용대출에 있어서도 20대의 연체율이 높았다. 한 은행의 올해 7월 기준 20대 이하 대출자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0.80%였다.
30대(0.37%)·40대(0.37%)·50대(0.37%)·60세 이상(0.62%)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불법 사금융으로 향하는 청년층도 늘고 있다.
서민금융연구원이 지난 6월 공개한 '저신용자 대상 설문조사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 응답자의 10%가 불법 사금융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2022년 7.5%, 2023년 9.8%에 이어 오르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