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글로벌 빅테크가 도입한 '주식 성과 보상 제도'가 반도체 업계로 확대 및 강화되고 있다.
임직원에게 성과급 일부를 주식으로 주는 것은 기본이고 향후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자사주를 추가로 지급하며 임직원에게 성과 창출에 대한 동기 부여를 강화하기 위한 취지다.
핵심 인재를 둘러싼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이런 제도를 인재 유치 및 유지 수단으로 활용하겠다는 목적도 숨어있는데, 이를 위해선 회사 전체 성과에 대한 임직원에 대한 보상과 별개로 개별 성과에 대한 추가 보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온다.
삼성전자 주가, 3년후 17만원되면 과·차장 1억치 자사주 받는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향후 3년간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성과연동 주식보상(PSU·Performance Stock Units) 제도를 시행한다고 사내에 공지했다.
삼성전자는 책임경영 강화의 일환으로 올해초부터 임원들을 대상으로 지난 1년간의 단기 성과를 보상하는 OPI(초과이익성과급.소속 사업부 실적이 연초 목표 초과시 초과 이익의 20% 한도 내로 개인 연봉의 최대 50%를 지급하는 성과급 제도) 중 일부를 자사주로 지급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데, PSU는 이와 별도로 주식 상승에 대한 추가 보상을 하는 개념이다.
주가 상승 폭에 따른 지급 배수는 오는 15일 기준주가와 2028년 10월 13일 기준주가를 비교해 상승률이 △20% 미만 시 0배 △20~40% 미만 시 0.5배 △40~60% 미만 시 1배 △60~80% 미만 시 1.3배 △80~100% 미만 시 1.7배 △100% 이상 시 2배다.
기준주가는 기준일 전일로부터 1주일, 1개월, 2개월 거래량 가중평균 주가의 산술평균인데, 이에 따른 PSU 기준주가는 8만5385원으로 결정됐다. 3년 뒤인 2028년 10월 13일 주가가 2배(17만770원)로 뛴다고 가정하면 과.차장급인 CL 3~4급 직원은 600주, 향후 3년간 1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받게 된다.
삼성전자는 내년부터 직원들이 자율적으로 OPI 지급액의 0~50% 범위 내로 10% 단위로 주식 보상률을 선택해 현금 대신 주식으로 받을 수 있는 제도도 도입하기로 했다. OPI 중 일부를 주식 보상으로 선택한 직원은 이를 1년간 보유하는 조건으로 주식 보상금액의 15%를 추가로 받게 된다.
앞서 DB하이텍도 올해 초 지난해 실적에 따른 직원 성과급인 PI(생산성 격려금)의 최대 50%까지 자사주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1년 보유시 구매가의 15%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내용의 성과급 제도를 처음으로 도입했고, SK하이닉스도 지난 2022년 말 PS(초과이익분배금)의 일부(10~50%)를 직원이 자사주로 선택하고 1년을 보유하면 매입 금액의 15%를 현금으로 받을 수 있는 '주주 참여 프로그램'를 도입한 후 운영하고 있다.
"취지·방향성 좋지만 인재 확보 위해선 개별 성과 보상 강화 필요"
연합뉴스반도체 업계에서 기존에 현금 100%로 지급하던 성과급 일부를 주식으로 주는 제도가 확대 및 강화되는 것에 대해 업계 안팎에선 긍정적인 평가가 나온다. 임직원에게 성과 창출에 대한 동기를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성과 연동 주식 보상은 미국의 빅테크 중 상당수가 도입하고 있다. 직원들이 회사의 성장과 개인의 이익을 함께 생각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함이다.
삼성전자가 최근 도입한 PSU 제도는 많은 기업이 도입한 제도는 아니지만 회사와 임직원, 주주의 일체감을 강화한다는 면에서 긍정적이라는 의미가 있다.
반도체 업계가 성과급에 대한 주식 보상을 강화하고 있는 것은 핵심 인재를 계속 붙들어 놓기 위한 목적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성과급 중 일부를 처분 기간을 미룬 자사주로 지급하거나 주가 상승을 전제로 자사주 지급을 약속해 핵심 인재의 이탈을 일정 부분 막아보겠다는 의도도 있다는 것이다. 다만 핵심 인재 확보 등을 위해선 회사 전체 성과나 소속 사업부의 성과를 고루 나눠주는 것과 별개로 개별 성과에 따른 보상을 강화하는 제도 보완이 필요하는 지적이 나온다.
이남우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은 "주식 성과 보상 제도를 강화하는 취지와 방향성은 긍정적이지만 개인의 능력이나 성과가 아닌 조직 전체의 성과를 직급에 따라서 지급하는 방식은 빅테크 등과 비교하면 아쉬운 부분이 있다"며 "제도의 취지를 살리되 핵심 기술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개인의 능력에 대한 보상 체계가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