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 연합뉴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 연합뉴스수백명의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가 벌어졌던 미국 조지아주의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공화)는 3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에게 단기 기술자 비자 필요성을 적극 건의했다"고 밝혔다. 
켐프 주지사는 이날 애틀란타 저널 컨스티튜션(AJC)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기술자들은 장비를 설치하고 미국인 노동자들을 훈련시키기 위해 오는 것이고, 트럼프 대통령은 기술자들이 단기적으로 미국에 머물러야할 이유를 충분히 이해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켐프 주지자는 지난 23일부터 3일간 한국을 방문해 조지아주에 투자한 국내 기업 관계자들과 만나기도 했다.  
그는 "현대자동차 메타플랜트 같은 큰 사업을 추진하다 보면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기 마련"이라며 "문제가 생기면 책임져야겠지만, 우리도 같이 문제를 풀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켐프 주지사는 미국 비자 정책과 관련해 "기술자들에 대한 적절한 비자 절차가 필요하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공약대로 미국 국경을 안전하게 지키고, 범죄자와 불법체류자는 계속 추적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아시아 순방을 떠나던 지난 27일 조지아주 사태와 관련해 "그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는 외국 전문가들의 입국을 원활하게 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한 단속 방식에는 반대했고, 사실 한국인 근로자들이 미국을 떠나기 전에 이미 상황은 잘 정리되고 있었다"며 "그들은 떠났지만 다시 돌아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이민당국은 지난달 초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단속을 단속해 한국인 300여명을 포함해 475명을 체포·구금했다.  
당시 당국이 군사작전을 방불케하는 단속을 벌이면서 한국인 노동자들에 대해 수갑은 물론 족쇄까지 채워 한미 양국 사회에 적지않은 충격파를 던졌다.  
이후 양국 정부간 협상을 통해 구금됐던 한국인 노동자들은 일주일 만에 풀려났고, 이번 사태를 계기로 한미 양국은 워킹그룹을 발족시켜 대미 투자 실행에 필요한 근로자들을 위한 비자 제도 개선 논의를 진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