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강기정 시장, "국가 NPU 전용 컴퓨팅센터 광주 설립" 정부에 공식 제안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AI 실증도시 광주' 전략 발표하며 AI연구소·모빌리티 신도시·AI집적단지 조성 요청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5일 오전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0회 서울미래컨퍼런스'에 참석해 '대한민국 AI 3강 AI 실증도시 광주'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5일 오전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0회 서울미래컨퍼런스'에 참석해 '대한민국 AI 3강 AI 실증도시 광주'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강기정 광주시장은 5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5 서울미래컨퍼런스–AX 시티와 6G, 한국형 미래도시 포럼'에서 'AI 실증도시 광주' 전략을 발표하며, 국가 NPU(신경망처리장치) 전용 컴퓨팅센터를 광주에 설립해달라고 정부에 공식 제안했다.

광주광역시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 것이다. 강기정 시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국산 AI반도체, NPU 산업 생태계 조성과 대한민국 AI 3강 도약을 위해서는 국가 NPU 전용 컴퓨팅센터 설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기업이 국산 AI반도체 양산체계를 완성할 수 있도록 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대학과 연구기관이 AI반도체 전문 인력을 빠르게 양성할 수 있는 체계도 함께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광주시는 이미 국가 AI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국산 AI반도체 산업생태계 조성에 나서왔다. 강 시장은 "국가 NPU 전용 컴퓨팅센터 설립으로 국산 AI반도체 시장에서 광주가 리더보드 역할을 맡겠다"고 말했다.

배경과 추진 현황

광주시는 에이직랜드, 에임퓨처, 퓨리오사AI, 리벨리온 등 25개 AI반도체 팹리스 기업과 협약을 맺었으며, 1단계(2023~2024년) 2년간 200억원 규모의 NPU 실증 및 검증 사업을 통해 퓨리오사AI·리벨리온·사피온 등이 국산 NPU를 출시했다. 참가 기업 수는 현재까지 정부 연구개발(R&D)을 지원받아 출시한 기업이 10개사다.

또한 올해부터 추진하는 2단계(2025~2027년) 400억원 규모의 고도화·상용화 사업엔 현재 6개사가 참여해 국산 NPU 기반 AX(인공지능 전환) 촉진을 위한 상용화 준비를 진행 중이다.

전략구조 및 제안사항

강기정 시장은 이날 개막식에 참석한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만나 '국가 NPU 전용 컴퓨팅센터 광주 설립'을 공식 제안했다.

'AI 실증도시 광주 전략'으로 제시한 네 가지는 '국가 NPU 전용 컴퓨팅센터 설립'을 비롯해 '국가AI연구소 광주 설립', 'AI + 모빌리티 신도시 조성', '메가샌드박스형 국가AI집적단지 지정' 등이다.

강 시장은 "국가AI연구소 광주 설립을 통해 국내외 우수 인력을 유치하고 AI 응용기술 개발 및 사업화해 기업을 성장시키고 청년 일자리를 만드는 지·산·학·연 혁신을 주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 국가 과학기술AI연구소와 범용인공지능(AGI) 개발을 위한 국가AI연구소 설립 예산을 2026년 예산안에 반영해 국회 심의 중이다.

또한 강 시장은 "'AI + 모빌리티 신도시 조성'은 국토교통부의 AI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사업과 산업통상자원부의 피지컬AI 기반 미래차 산업혁신클러스터 조성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지역 특화산업에 맞게 광주에 실증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그는 "첨단3지구 일원에 위치한 국가AI데이터센터, AI영재고등학교, 광주과학기술원(GIST), AI 이노스페이스 등이 모여 있는 이 지역을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AI 기본법'에 근거해 국가AI집적단지로 지정받아 정부의 재정·기술 지원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시는 이 일대를 싱가포르의 풍골디지털지구처럼 규제 없는 도시, 도시 단위의 메가샌드박스로 지정해 AI 실증도시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강 시장은 "광주의 AI 실증도시 전략은 국가 NPU 전용 컴퓨팅센터 설립, 국가AI연구소 설립, AI + 모빌리티 신도시 조성, 그리고 메가샌드박스형 국가AI집적단지 지정"이라며 "광주가 꿈꾸던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를 이루지 못했지만, 대한민국 AI 3강 도약을 위해 광주에 주어진 역할을 이재명 정부와 함께 AI 실증도시 구현을 통해 반드시 완수하겠다"고 밝혔다.

전망 및 과제

광주의 이번 전략은 AI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도시 성장 동력을 잡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 특히 NPU 전용 컴퓨팅센터를 포함한 산업 인프라 구축 제안은 정부 차원의 지원과 연계돼야 실현 가능성이 높다.

다만 제안이 실제 실행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선 예산 확보, 중앙부처 협의, 지역기업 및 연구기관의 참여 확대, 규제 특례 확보 등이 관건이다. 또한 광주가 제안한 '메가샌드박스형 국가AI집적단지' 지정은 관련 입법 및 지자체·산업·학계 간 협업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광주가 AI 중심도시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는 가운데, 지역 산업·인재·연구인프라 간 시너지 창출 여부가 향후 'AI 실증도시 광주' 전략의 성패를 가를 핵심이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