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전자상가 일대 조감도. 서울시 제공국가 상징거점으로 다시 태어날 서울 용산역 일대가 95년 단일 구역으로 지정된지 30년만에 6개 구역으로 다 나뉘어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13일 열린 제18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서울 최대 규모인 '용산역 인근 개발사업이 지구단위계획구역'을 6개로 나눠 재편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1995년 지정된 이후 345만㎡ 규모로 관리돼온 용산 지구단위계획을 △서울역 일대(71만㎡) △남영역 일대(36만㎡) △삼각지역 일대(73만㎡) △한강로 동측(40만㎡) △용산역 일대(105만㎡) △용산전자상가(12만㎡)로 분할해 개발한다는 내용이다.
서울시 제공서울시는 서울역 일대를 국제관문형 공간으로, 남영역 일대를 한강대로 업무축으로 조성해 도심과 용산을 연결한다는 계획이다.
삼각지역 일대는 용산공원과 인접한 중저층 중심의 정비를 유도하고, 한강로 동측은 주거·업무·녹지가 어우러진 복합공간으로 개발된다.
용산역 일대는 '용산 신(新)중심'으로, 용산전자상가는 AI·ICT 등 미래 신산업 혁신거점으로 육성된다.
특별계획구역도 기존 59개소에서 68개소로 늘어난다. 용산전자상가 일대 등 9곳이 새로 지정되며, 특히 전자상가 지역에는 11개의 특별계획구역이 마련된다.
서울시는 이 일대가 엔비디아처럼 세계적인 빅테크 기업이 성장하는 혁신 산업의 중심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주민 의견을 반영해 용산우체국 주변 등 2곳은 특별계획구역에서 해제된다.
'용리단길'로 알려진 이 일대는 기존 가로를 유지하면서 중·소규모 개별 건축을 허용해 지역 특성을 살릴 방침이다.
또 한강대로변의 건축물 높이 제한은 100m에서 120m로 완화되고, 사업계획에 따라 추가 완화도 가능해진다. 민원을 야기했던 공동개발 지정은 전면 해제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용산 광역중심 일대가 국가 상징거점이자 미래 신도심으로 위상을 높이게 될 것"이라며 "구역 재편을 통해 도시행정의 효율성과 속도도 함께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