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설작업. 경남도청 제공 경상남도가 겨울철 자연재난 대응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도는 내년 3월 15일까지를 겨울철 종합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대설·한파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 체계를 가동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를 위해 24시간 비상근무 체계를 구축하고 기상특보 또는 비상상황 발생 때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는 단계별 대응 체계를 마련했다.
도는 지난달부터 자동제설장치와 제설방지 작동 여부를 점검하며 두 차례에 걸쳐 관계 기관과 합동 훈련을 통해 긴급 상황 대응력을 높였다. 결빙 취약구간 379곳, 제설 취약구간 269곳을 지정하고, 이를 주요 내비게이션 플랫폼과 공유해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돕는다.
도는 대설 고립 예상 지역 54곳과 오래된 주택, 시장 비가림, 패널 구조물, 농·축·수산시설 등 적설 위험시설 236곳을 미리 조사해 안전 조치도 진행했다. 한파에 대비하고자 한랭질환자에 대한 일일 감시 체계를 운영하고, 독거노인·중증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돌봄서비스와 방문 건강관리를 확대한다. 경로당·장애인보호시설·노인가장세대 등에 난방비를 지원한다.
도내 6955곳을 한파쉼터로 운영하고, 버스정류장 등 이용 빈도가 높은 3728곳에는 스마터쉼터·온열의자·방풍막 등 한파 저감시설을 설치한다. 이를 위해 도는 시군에 재난관리기금 6억 원을 내려 보냈으며, 이달 중 특별교부세 11억 6천만 원도 추가로 지원한다.
도는 겨울철 행동요령, 한파안전 5대 기본수칙 등을 도민에게 적극적으로 안내하고, 고령층을 대상으로 '행복 문제메시지 알림서비스'를 운영해 기상특보를 알려주고 안부 확인을 요청하는 체계를 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