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관세청, 5년간 청년층 표적 '클럽 마약' 적발량 7.3배↑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케타민, 특송화물 통해 들어와…올해 232만 분 밀반입

최근 5년 클럽 마약 적발 건수 및 중량. 관세청 제공최근 5년 클럽 마약 적발 건수 및 중량. 관세청 제공 
최근 5년간 관세청이 적발한 이른바 '클럽 마약' 규모가 약 7배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관세청은 올해 9월까지 클럽·파티·유흥업소 등에서 주로 소비되는 클럽 마약 밀반입 단속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적발량이 약 7.3배 증가했다고 18일 밝혔다.

관세청은 지난 2021년 215건, 15.8㎏을 적발했지만, 올해 9월 기준 116건, 115.9㎏을 적발해 중량 기준으로 약 7.3배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적발 건수는 줄었지만, 증량 기준은 급증한 상황으로 올해 적발량은 약 232만 명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이다. 과거에 비해 1㎏ 이상 대형 밀수 건수가 늘어난 영향으로 관세청은 보고 있다.

클럽 마약 중 케타민 밀반입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졌다. 케타민 적발량은 2021년 5.9㎏에서 올해 101.9㎏으로 17.3배로 늘었다. 1㎏ 이상 대형 밀수 적발 건수는 2021년 1건에서 2025년 15건으로 급증했다.

케타민의 주요 반입 경로는 특송화물(51.4㎏), 여행자 수하물(41.8㎏), 국제우편(8.0㎏)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발송국은 프랑스(57.1㎏), 영국(11.8㎏), 독일(10.8㎏)이었다.

관세청은 유럽 내에서 활동하는 국제마약조직이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해 한국으로 케타민 밀반입을 시도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관세청은 클럽 마약 밀수 증가가 청년층의 수요 확산과 연계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공급망 차단에 집중할 계획이다.

우선 인공지능(AI) 기반 우범여행자 및 위험화물 분석·선별 시스템을 개발·고도화해 우범여행자·특송화물·국제우편을 대상으로 집중 검사를 할 예정이다. 밀리미터파 검색기, 라만분광기, 이온스캐너 등 첨단 마약탐지장비도 추가 도입한다.

유럽 및 동남아 주요 마약 발송국과의 공조 체계를 강화하고, 청소년층 대상 마약 오남용 예방 교육 및 온라인 캠페인을 통한 홍보활동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클럽 마약 밀반입은 우리 미래를 책임질 청년층을 표적으로 하는 심각한 범죄"라며 "모든 역량을 투입해 국경 단계에서의 마약 밀반입을 원천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