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경기도의회 운영위원회 행정사무감사를 주재하는 양우식(국민의힘·비례)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 연합뉴스"남자랑 가? 여자랑 가? 쓰○○이나 스○○ 하는 거야? 결혼 안 했으니 스○○은 아닐 테고…." 양우식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국민의힘·비례)이 의회 직원에게 했던 문제의 발언이다. 그는 지난달 28일 모욕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피해자에겐 2차 가해가 될 수 있는 '그의 워딩'을 유감스럽게도 다시금 꺼낸 이유가 있다. 19일 경기도의회 운영위원회 행정사무감사가 파행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이번 사태의 본질이 가려지는 것 같은 안타까움 때문이다.
이날 경기도지사 비서실 직원들과 보좌진들은 '동료를 모욕한 양 위원장이 진행하는 감사는 받을 수 없다'는 이유로 회의에 불참했다.
김진경 의장은 곧바로 '의회 경시'라며 유감을 표명했다. 반면 경기도청 익명게시판에는 "성희롱 문제 삼은 게 의회를 경시한 거냐?" "성희롱도 존중해야 하는 건가요?" 등 의장의 입장문에 대한 불만 글들이 올라왔다.
파행의 원인을 두고 양 위원장의 성희롱은 온데간데없이 의회와 집행부간 대립으로 비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법에 따라 피감기관의 출석을 요구하는 의장도 명분이 있고, 범죄 행위(모욕)로부터 동료를 지키고자 하는 집행부도 명분이 있어 보인다.
다만 한 사람은 명분이 없어 보인다. 양 위원장이다.
양 위원장은 경찰 조사를 받고, 검찰에 의해 기소될 때까지 단 한 번도 피해자에게 사과 한 마디 건넨 적이 없다. 뿐만 아니라 운영위원장직은 물론 의원직 유지마저 부적절함을 지적하는 경기도 노조와 언론을 향해서는 법적 대응 운운하며 2차, 3차 가해를 해왔다.
말 그대로 그는 '그냥' 버티고 있다. 그는 어떻게 그렇게 막무가내로 버틸 수 있는 걸까.
양 위원장의 성희롱 건은 지난 6월 10일 윤리특위에 회부됐다. 의원징계요구안은 회부된 날로부터 3개월안에 심사를 끝내야 한다. 양 위원장 건은 이미 5개월이나 지났다.
하물며 지난 6일 열릴 예정이었던 윤리특위는 개회조차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12명(민주당·국민의힘 각 6명) 중 5명만 참석해 개회 정족수 7명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운영위 파행 사태에 경기도의회 윤리특위 의원들은 아무런 책임감도 느끼지 않는 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날 운영위 파행 소식에 시민단체 경기여성단체연합은 행감 불참 지지 성명서를 냈다.
그들은 양 위원장이 의회 홈페이지에 올린 인사말을 인용해 "도민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민원 해결 멘토' 역할은 도덕성 상실로 이미 끝난 것이나 다름없다"며 "즉시 운영위원장직을 내려놓고 재판에 전념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양 위원장은 이번 사태에 대해 공교롭게도 "도민에 대한 '모욕'"이라고 했다. 양 위원장은 피해 직원도 도민의 한 사람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결자해지 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