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자동차용 반도체 생산업체 넥스페리아를 둘러싼 중국과 네덜란드간 갈등이 일단락됐다. 중국과 네덜란드가 협의를 통해 네덜란드 정부의 넥스페리아에 대한 개입 조치를 유예하기로 했다.
중국 상무부는 19일 대변인 명의 입장문을 통해 중국과 네덜란드 정부는 18~19일 베이징에서 넥스페리아 반도체 문제와 관련하여 두 차례에 걸쳐 대면 협의를 진행했다며 "네덜란드 측은 상품가용성법에 따라 네덜란드 경제부 장관이 내린 행정명령의 유예를 적극적으로 제안했다"고 밝혔다.
네덜란드 정부는 자국 소재 기업 넥스페리아의 핵심기술 유출 우려를 이유로 중국 기업 윙테크가 인수한 넥스페리아의 자산·지식재산권을 동결하고 경영권을 박탈하는 등의 조치가 담긴 경제부 장관 명의 행정명령을 지난달 시행한 바 있고, 중국과의 이번 협의를 통해 이를 유예하기로 한 것.
상무부는 협의 과정에서 "현재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혼란에 대한 근원과 책임이 네덜란드에 있음을 재차 강조하며, 네덜란드가 넥스페리아 문제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안전과 안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행정명령 유예가 아닌 철회가 근본 원인을 해결하는 방법이라고 강조하면서 "네덜란드 경제부가 주도하는 기업법원이 윙테크의 넥스페리아에 대한 지배권을 박탈한 잘못된 판결은 이 문제 해결의 주요 걸림돌로 남아 있다"고 밝혔다.
빈센트 카레만스 네덜란드 경제부 장관도 같은날 성명을 내고 "최근의 전개를 고려할 때 지금이 건설적인 조치를 할 적절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며 행정명령 유예 입장을 밝혔다. 그는 "네덜란드 정부는 앞으로도 중국 당국과 건설적인 대화를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기업이 일정부분의 지분을 보유한 자회사도 제재 대상에 자동으로 포함시키는 미국 정부의 새로운 규정 나온뒤 네덜란드 정부는 넥스페리아가 받게될 불이익을 막기 위해 윙테크의 경영권을 박탈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중국 당국이 반발하며 대부분 중국내에서 생산되는 넥스페리아 제품에 대한 대외 반입을 금지시켰고, 차량용 반도체 공급대란 우려가 커졌다. 넥스페리아는 한국과 독일, 일본, 미국 등의 주요 완성차 업체를 고객으로 두고 있다.
하지만 지난달 30일 부산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 미국이 새로운 규정의 시행을 1년 유예하기로 하면서 네덜란드 정부가 넥스페리아의 경영권을 박탈한 근거가 사실상 사라졌다. 이에 네덜란드 정부가 중국과 협의를 거쳐 행정명령 유예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